주산지
-
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7:15
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경기도 광주는 도시화가 많이 진행되어서 농업을 별로 많이 하지 않는 지역이다. 토마토가 전국 순위가 가장 높은 17위인데 면적은 2000년 보다 6.4%가 줄어든 44 ha 밖에 되지 않는다. 2000년에는 양채류, 상추, 시금치 등을 시설에서 재배해 서울에 공급했으나 지금은 거의 없어진 상태이다. 특히 시설 상추는 89.6%가 줄어들어서 전국 3위에서 21위로 떨어졌다. 고구마(140%) 들깨(161.9%) 옥수수(235.7%) 등은 많이 늘어났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매실, 자두, 대추 등의 재배가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다. 꿀벌은 379%가 늘어나고 육계 257.9%, 염소 72.1%가 각각 늘었지만 한우, 젖소, 돼지, 산란계 등은 많이 줄었다. 쌀은 ..
-
화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7:13
화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화성은 젖소를 많이 키우고 포도와 무도 많이 심는다. 젖소는 2000년 보다 43.0%, 1만 2,807두가 줄어들어서 전국 최대 주산지에서 2위로 내려왔다. 포도는 전국 6위를 하고 있는데 면적은 37.8%, 303 ha가 줄어들었다. 무도 절반 가까운 172 ha가 줄어들었지만 순위는 11위에서 10위로 올랐다. 쌀은 2000년 전국 8위였으나 절반 가까운 7,447 ha가 줄어들어서 16위로 떨어졌다. 자두(700%), 사과(320%), 옥수수(295.6%), 대추(250%), 들깨(158.3%), 고구마(71.5%)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났다. 하지만 시설상추(91.3%), 참깨(81.1%), 배추(72.3%), 노지 고추(72.0%), 배(68.5%)..
-
남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2:30
남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남양주는 시설 시금치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고, 시설 상추와 배도 많이 심는다. 시설 시금치는 2000년 보다 재배면적이 19.0%, 60 ha가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의 16.2%를 차지하는 전국 최대 주산지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노지 시금치도 조금 늘어서 28위에서 15위로 올라왔다. 시설 상추는 69.8%가 줄어들어서 전국 1위에서 3위로 떨어졌다. 배는 71.4%가 줄어들어서 전국 10위로 한 단계 떨어졌다. 매실은 2000년에는 하나도 심지 않았지만 지구온난화로 기후가 올라가면서 34 ha나 심어서 전국 23위를 차지했고, 사과와 대추도 많이 늘어났으며 감귤도 심는 것을 볼 수 있다. 시설 양채류는 2000년 전국 5위였으나 85.9%가 줄어들어서 9..
-
여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9
여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여주는 고구마, 땅콩, 참외를 많이 심는다. 고구마는 2000년 전국 1위였는데 37.5%, 949 ha가 줄어들어서 2위로 내려왔다. 땅콩은 면적이 88.5%가 늘어나서 전국 8위에서 5위로 올라왔고, 참외는 68.5%가 줄었지만 순위는 7위로 조금 올라왔다. 젖소는 사육두수가 38.3%가 줄어들었지만 순위는 13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한우가 2배 이상 늘어났고 산란계와 꿀벌은 조금 늘었났다. 돼지, 육계, 염소는 줄어들었고 오리는 99.9%가 줄어들어서 거의 사라졌다. 양파(600%), 들깨(249.1%), 옥수수(183.3%), 인삼(65.6%), 복숭아(53.4%)는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났다. 시설오이(72.7%) 화훼(71.9%), 참깨(71.3%),..
-
이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8
이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이천은 시설 상추와 젖소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키운다. 또한 양채류, 화훼, 인삼, 시설 시금치, 대파, 고구마, 복숭아와 돼지를 많이 키우는 지역이다. 젖소는 2000년과 비슷한 2만2천여 두를 키우는데 순위가 2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시설 상추는 138.2%, 141 ha가 늘어나서 전국 10위에서 최대 주산지가 되었다. 시설에서 재배하는 양채류도 5배 넘게 늘어나서 13위에서 3위로 올라왔다. 화훼는 면적이 113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13위에서 4위로 올라왔다. 인삼은 284 ha, 시설 시금치는 7 ha, 대파는 114 ha, 고구마는 155 ha, 복숭아는 117 ha가 각각 늘어나서 전국 10위안에 들어왔다. 돼지는 도드람 양돈협동조합을 중심으로 ..
-
합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남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4
합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합천은 양파, 마늘, 시설 양채류, 밤을 많이 심고, 꿀벌을 많이 키운다. 양파는 2000년에 비해서 38.5%, 173 ha가 늘어나서 전국 9위에서 4위로 올라왔고, 마늘도 125.8%가 늘어나서 18위에서 9위로 올라왔다. 시설 양채류는 2000년 2 ha 밖에 심지 않았는데 지금은 48 ha나 심어서 7위를 기록하고 있다. 밤은 2010년에 비해서 74.9%가 줄어들어서 5위에서 7위로 떨어졌다. 들깨, 시설 상추, 대파, 떫은감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났다. 보리(-96.4%), 무(-95.6%), 수박(-95.1%) 등은 거의 심지 않고, 팥(89.6%), 시설 호박(86.2%), 참깨(84.6%), 화훼(83.0%), 감자(81.2%), 고구마(78..
-
거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남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3
거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거제는 감귤을 제외하고는 전국 10위안에 드는 농산물이 없다. 감귤은 전국 9위를 하고 있지만 면적은 5 ha로 매우 적은 편이다. 매실이 5배 이상 늘었고 포도, 떫은감, 감자, 들깨 등이 많이 늘었지만 면적은 그리 많지 않다. 다른 작물들은 전부 재배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꿀벌이 456.4%, 산란계가 231.2% 늘었지만 다른 축종들은 모두 많이 줄어들었다. 특히 돼지는 99.2%가 줄어들어 섬에서 거의 사라졌다. 쌀은 2000년에 비해 63.1%, 1,646 ha가 줄어들어서 133위를 차지하고 있다. 거제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년 2010년 2000년 증감면적 증감율 재 배 면 적 순위 비 율 순위 면 적 감귤 5 9 0.0% 8 5 5 ..
-
밀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남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1
밀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밀양은 시설 고추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고, 딸기도 전국 2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단감, 대추, 당근, 보리, 매실도 전국 10위 안에 들어간다. 시설 고추는 2000년에 비해서 41.2%, 293 ha가 줄었지만 전국의 11.1%로 최대 주산지를 2000년부터 계속 유지하고 있다. 딸기도 47.1%가 줄었지만 전국의 9.0%를 차지하는 2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단감은 2000년에 비해 70.5%가 줄었지만 순위는 3위에서 한 단계 떨어졌고, 떫은감은 23.0% 밖에 줄지 않았지만 순위는 4위에서 11위로 떨어졌다. 대추는 면적이 64.1%가 줄어서 순위가 2위에서 5위로 떨어졌고, 보리는 75.8%, 2,027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9위에서 8위로 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