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주요농산물
-
화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39
화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화순은 염소를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키우지만 특별히 많이 재배하는 농산물은 없다. 염소는 2000년 전국 8위였으나 사육두수가 32.6% 늘어나서 2위로 올라왔다. 시설고추는 2000년 11위였는데 58.2%가 줄어서 30위로 떨어졌다. 보리(98.1%), 배(95.3%), 화훼(91.5%), 참깨(83.1%), 무(74.1%), 팥(72.3%), 마늘(70.3%), 단감(69.9%), 노지고추(65.8%), 콩(46.8%)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줄었다. 반면에 떫은감(84.2%), 매실(73.7%), 고구마(55.0%), 복숭아(52.1%), 자두(33.3%), 토마토(28.2%), 땅콩, 호두 등은 면적이 늘어났다. 축산은 오리(97.7%), 산란계(90...
-
영암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37
영암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암은 오리, 육계와 염소를 많이 키우고 고구마, 떫은감, 쌀, 무, 팥을 많이 재배한다. 오리는 29.5%가 늘었지만 2000년 2위에서 3위로 떨어졌다. 육계는 63.5%가 늘어서 25위에서 7위로 올라왔고, 염소는 4.5%가 늘어나서 38위에서 9위로 크게 상승했다. 고구마는 재배면적이 224.0%, 827 ha가 늘어나서 2000년 11위에서 3위로 올라왔다. 떫은감은 49.0%가 늘었지만 순위는 4위로 한 단계 내려왔다. 무는 면적이 81.9%, 914 ha가 줄어서 2000년 2위에서 9위로 떨어졌다. 쌀은 26.0%, 3,972 ha가 줄었지만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게 줄어서 순위가 8위로 조금 올랐다. 팥은 8.9%가 줄었지만 순위는 39위..
-
진도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33
진도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진도는 대파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고 배추도 많이 재배한다. 대파는 2000년부터 계속 전국 최대 주산지를 유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11.2% 밖에 줄지 않았고, 전국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4.4%로 압도적이다. 배추는 2000년 49위였었는데 면적이 535.0%, 963 ha가 늘어나서 전국 3위로 급부상 했다. 감귤은 전국 7위를 차지하고 있지만 면적은 7 ha로 매우 적다. 양배추는 2005년 4위였으나 면적이 74.4%, 128 ha가 줄어서 13위로 떨어졌다. 들깨(475%), 노지호박(157.1%) 등은 면적이 많이 늘어났고, 당근, 자두, 매실, 호두, 포도, 땅콩 등을 새롭게 심기 시작했다. 참깨(83.3%), 콩(81.3%), 단감(80.0%), ..
-
완도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31
완도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완도는 감귤을 제외하고는 전국 10위안에 들어가는 농축산물이 없다. 감귤은 최근에 심기 시작해 전국 4위이기는 하지만 면적은 17 ha 밖에 되지 않는다. 고구마는 2000년 전국 9위였으나 면적이 89.9%, 344 ha가 줄어서 112위로 급락했다. 보리(92.6%), 콩(90.3%), 참깨(89.5%), 단감(84.7%), 마늘(81.6%), 노지고추(55.8%) 등은 재배면적이 아주 많이 줄었다. 하지만 배추(20.6%), 노지호박은 늘어났다. 축산은 오리(98.8%), 돼지(84.1%), 육계(75.6%), 염소(42.9%), 산란계(5.2%), 한우(4.7%) 등 거의 모든 축종이 줄었고 꿀벌(27.1%)만 늘었다. 쌀은 면적이 55.2%, 1,425 ..
-
해남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29
해남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해남은 쌀, 보리, 배추, 고구마의 전국 최대 주산지이다. 또한 참깨, 노지고추, 마늘, 시설호박, 노지호박, 대파, 양배추 등도 아주 많이 심는다. 쌀은 2000년 보다 14.2%, 2,668 ha 밖에 줄지 않아서 4위에서 1위로 올라왔고, 보리는 44.4%, 1,217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7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배추는 면적이 411.9%, 3,509 ha가 늘어나서 전국의 19.6%를 차지하는 압도적인 최대 주산지가 되었다. 고구마도 67.6%가 늘어나서 3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시설호박은 면적이 2,950%가 늘어나서 2005년 88위에서 6위로 올라왔지만 노지호박은 64.5%가 줄어서 2위에서 8위로 떨어졌다. 참깨는 82.0%, 838 ha가 ..
-
영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26
영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광은 보리와 대파를 많이 심는다. 보리는 2000년에는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었지만 재배면적이 75.0%, 3,023 ha가 줄어서 4위로 내려왔다. 대파는 2000년부터 계속 4위를 하고 있는데 면적은 6.6%가 늘어났다. 땅콩은 면적이 41.7%가 줄어서 전국 9위에서 17위로 떨어졌고, 노지고추도 73.8%가 줄어서 14위에서 27위로 내려왔다. 밤(900%), 인삼(457.9%), 양파(100%), 고구마(77.1%), 콩(31.2%) 등은 재배면적이 늘어나서 순위가 많이 올라왔다. 마늘(89.7%), 배(85.4%), 참깨(78.5%), 단감(72.3%), 배추(71.4%), 무(68.6%), 감자(66.9%)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축산은 ..
-
장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7. 20:25
장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장성은 단감과 떫은감을 많이 재배한다. 단감은 2000년 보다 면적이 46.8%, 250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8위로 한 단계 높아졌다. 떫은감은 205.8%, 107 ha가 늘었지만 순위는 13위로 한 단계 낮아졌다. 딸기를 2000년과 비슷한 규모를 재배하고 있고, 양파는 554.5%가 늘어서 순위가 78위에서 30위로 급상승했다. 들깨(146.2%), 감자(75.4%), 사과(46.3%), 복숭아(38.5%), 매실, 대추, 인삼 등은 재배면적이 늘어났다. 또한 양배추, 호두, 살구 등은 새롭게 심기 시작했다 반면에 시설상추(96.0%), 시설수박(91.7%), 마늘(84.5%), 노지고추(76.6%), 배(74.2%), 배추(72.8%), 콩(28.0%)..
-
장흥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전남 주요농산물 2022. 7. 24. 17:26
장흥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장흥은 팥을 많이 심고 오리, 한우를 다른 곳보다 많이 키운다. 팥은 2000년 20위였으나 재배면적이 14.1%가 늘어나서 전국 4위로 올라왔다. 오리는 사육수가 44.2%가 늘어났는데도 순위는 3위에서 4위로 떨어졌고, 한우는 사육두수가 81.0%, 1만 6,699두가 늘었지만 순위는 2000년부터 계속 9위를 유지하고 있다. 염소는 2000년 5위였으나 61.4%가 줄어서 지금은 24위를 차지하고 있다. 산란계(367.5%), 육계(110.8%), 꿀벌(4.6%)은 많이 늘었고 젖소(87.4%), 돼지(51.8%) 등은 사육두수가 줄었다. 보리는 전국 5위였으나 92.9%가 줄어서 12위로 내려왔고, 양배추도 72.9%가 줄어서 6위에서 18위로 떨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