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2:28728x90
이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이천은 시설 상추와 젖소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키운다.
또한 양채류, 화훼, 인삼, 시설 시금치, 대파, 고구마, 복숭아와 돼지를 많이 키우는 지역이다.
젖소는 2000년과 비슷한 2만2천여 두를 키우는데 순위가 2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시설 상추는 138.2%, 141 ha가 늘어나서 전국 10위에서 최대 주산지가 되었다.
시설에서 재배하는 양채류도 5배 넘게 늘어나서 13위에서 3위로 올라왔다.
화훼는 면적이 113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13위에서 4위로 올라왔다.
인삼은 284 ha, 시설 시금치는 7 ha, 대파는 114 ha, 고구마는 155 ha, 복숭아는 117 ha가 각각 늘어나서 전국 10위안에 들어왔다.
돼지는 도드람 양돈협동조합을 중심으로 사육 두수를 2배 가까이 늘려서 전국 5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산란계는 48.2%가 줄어들어서 6위에서 17위로 떨어졌고, 육계(25.5%), 오리(61.7%), 염소(18.7%)는 사육 두수가 줄어들었다.
하지만 한우는 139.8%가 늘어나서 순위가 많이 올랐고, 꿀벌도 32.6%나 늘어났다.
들깨(406.8%), 양파(300%), 자두(250%), 옥수수(72.2%)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난 품목이다.
농민들이 나이가 들면서 노동력이 부족해 노지 고추는 72.3%가 줄어들었고, 배(71.1%) 참깨(67.9%) 배추(66.9%) 사과(61.8%) 무(34.8%) 등도 많이 줄었다.
쌀은 36.5%, 3,652 ha가 줄어들었지만 순위는 2000년과 비슷한 33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천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년 2010년 2000년 증감면적 증감율 재배면적 순위 비율 순위 면 적 젖소 20,386 1 7.6% 22,084 2 20,406 -20 -0.1% 상추(시설) 243 1 9.7% 248 10 102 141 138.2% 돼지 299,966 2 4.6% 253,458 5 173,521 126,445 72.9% 양채류(시설) 144 3 8.9% 47 13 22 122 554.5% 화훼* 94 4 3.5% 77 13 207 -113 -54.6% 인삼 445 5 4.1% 381 12 161 284 176.4% 시금치(시설) 70 6 4.4% 79 8 63 7 11.1% 대파 211 6 2.8% 174 16 97 114 117.5% 고구마 514 8 2.3% 637 13 359 155 43.3% 복숭아 569 10 3.6% 779 6 452 117 25.9% 땅콩* 28 13 1.6% 43 17 21 7 33.3% 무 105 14 0.9% 51 35 161 -56 -34.8% 호박(노지)* 45 15 1.8% 37 15 40 5 12.5% 배 90 16 1.0% 166 16 310 -220 -71.1% 산란계* 777,365 17 1.5% 1,321,174 6 1,501,542 -724,177 -48.2% 들깨* 223 20 1.2% 97 51 44 179 406.8% 참외 3 21 0.1% 3 47 2 1 50.0% 감귤 0 28 0.5% 0 11 1 -1 -90.0% 참깨 70 28 0.9% 36 54 218 -148 -67.9% 육계* 1,592,416 29 1.3% 871,178 20 2,138,587 -546,171 -25.5% 옥수수 93 30 0.7% 84 36 54 39 72.2% 호박(시설)* 9 30 0.6% 4 38 11 -2 -18.2% 감자 113 32 0.7% 119 49 117 -4 -3.2% 쌀 6,361 33 1.1% 8,902 32 10,013 -3,652 -36.5% 오이(시설) 12 33 0.6% 16 34 31 -19 -61.3% 양배추* 7 34 0.2% 2 106 0 7 고추(시설) 24 35 0.6% 10 36 20 4 20.0% 딸기 15 36 0.4% 17 53 8 7 87.5% 마늘 60 37 0.3% 22 55 123 -63 -51.2% 시금치(노지)* 3 37 0.1% 1 127 1 2 200.0% 오리 25,002 39 0.3% 143,100 18 65,364 -40,362 -61.7% 당근* 1 43 0.1% 8 17 5 -4 -80.0% 한육우 19,436 47 0.8% 18,117 74 8,105 11,331 139.8% 염소 1,795 52 0.6% 740 96 2,207 -412 -18.7% 사과 51 53 0.2% 68 39 134 -83 -61.8% 자두 7 56 0.2% 14 62 2 5 250.0% 고추(노지) 192 60 0.6% 161 37 693 -501 -72.3% 대추 10 63 0.3% 1 74 2 8 400.0% 양파 20 67 0.2% 3 103 5 15 300.0% 수박(시설) 3 67 0.1% 0 110 2 1 50.0% 포도 10 68 0.1% 12 78 19 -9 -45.8% 콩 179 74 0.4% 341 40 430 -251 -58.4% 배추 56 76 0.3% 66 54 169 -113 -66.9% 팥 10 77 0.3% 20 74 33 -23 -69.7% 토마토 6 89 0.2% 12 75 8 -2 -25.0% 보리 6 98 0.0% 2 148 2 4 200.0% 호두** 5 99 0.2% 0 37 5 0 0.0% 꿀벌 3,341 104 0.4% 4,495 91 2,519 822 32.6% 살구* 0 106 0.0% 0 69 0 0 밤** 3 144 0.0% 0 83 9 -6 -66.7% 매실 5 146 0.1% 7 122 0 5 떫은감 1 160 0.0% 1 138 0 1 단감 1 168 0.0% 1 139 1 0 10.0% (자료:농림어업총조사)
주) * 는 2005년과 비교
** 밤, 호두는 2010년, 2015년과 비교
728x90'경기도 주요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 여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 평택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2 경기도 주요농산물 2010 (0) 2012.04.28 김포 주요농산물 2010 (0) 2012.0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