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충북 주요농산물 2022. 8. 7. 18:14728x90
청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청주는 시설호박, 땅콩, 대추, 들깨, 참깨, 옥수수를 많이 재배하며 꿀벌, 염소 , 한육우를 많이 키운다.
청주는 전국 순위가 20위안에 들어가는 품목이 24개나 있을 정도로 충청북도의 대표적인 농업지역이다.
시설호박은 2005년부터 계속 전국 2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48.3%가 줄어들었다.
땅콩은 면적이 141.2%가 늘어나서 21위에서 7위로 올라왔고, 대추도 885.7%가 늘어나서 27위에서 7위로 껑충 뛰었다.
들깨는 256.4%, 259 ha가 늘어서 32위에서 7위로 급상승했으며, 참깨는 면적이 64.0%가 줄었지만 순위는 14위에서 8위로 올라왔다.
옥수수는 130.2%가 늘어서 18위에서 8위로 상승했다.
꿀벌은 사육통수가 103.2%가 늘어서 2000년 14위에서 2위로 부상했고, 염소는 7.8% 밖에 줄어들지 않아서 9위에서 5위로 올라왔다.
한우는 38.3%가 늘었지만 순위는 3위에서 7위로 떨어졌다.
젖소(64.1%), 돼지 (56.8%), 산란계(53.4%), 육계(47.5%) 등은 줄었고, 오리(177.1%) 는 많이 늘었다.
인삼은 면적이 28.2%가 줄어서 전국 6위에서 13위로 내려왔고, 시설시금치도 68.6%가 줄어서 6위에서 12위로 떨어졌다.
배추는 면적이 42.2%, 222 ha가 줄어서 7위에서 14위로 떨어졌다.
화훼(88.0%), 배(87.5%), 시설수박(78.8%), 포도(57.8%), 복숭아(35.6%), 팥(77.9%), 마늘(72.0%), 노지고추(69.0%)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줄었다.
반면에 매실(4300%), 밤(142.1%), 호두(113.6%), 떫은감(112.5%), 단감(106.7%), 자두(60.0%), 콩(805.6%), 양파(271.4%), 고구마(122.6%) 등은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쌀은 면적이 43.7%, 6,013 ha가 줄어서 16위에서 24위로 떨어졌다.
청주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년 2010년 2000년 증감면적 증감율 재배면적 순위 비 율 순위 면 적 호박(시설)* 93 2 6.7% 121 2 180 -87 -48.3% 꿀벌 19,783 2 2.2% 25,926 14 9,737 10,046 103.2% 염소 7,704 5 2.6% 6,029 9 8,360 -656 -7.8% 한육우 40,541 7 1.8% 57,672 3 29,306 11,235 38.3% 땅콩* 41 7 2.4% 62 21 17 24 141.2% 대추 69 7 2.2% 37 27 7 62 885.7% 들깨* 360 7 1.9% 275 32 101 259 256.4% 참깨 143 8 1.8% 168 14 397 -254 -64.0% 옥수수 343 8 2.7% 208 18 149 194 130.2% 대파 119 11 1.6% 129 10 139 -20 -14.4% 시금치(시설) 22 12 1.4% 70 6 70 -48 -68.6% 인삼 196 13 1.8% 548 6 273 -77 -28.2% 고구마 303 13 1.3% 325 23 136 167 122.6% 매실 44 14 0.8% 60 89 1 43 4300.0% 배추 304 14 1.4% 520 7 526 -222 -42.2% 양배추 33 15 0.8% 41 20 24 9 37.5% 양채류(시설) 20 16 1.2% 33 22 11 9 81.8% 젖소 4,295 16 1.6% 7,218 10 11,976 -7,681 -64.1% 호두** 47 16 1.5% 22 12 22 25 113.6% 고추(노지) 385 16 1.2% 566 15 1,241 -856 -69.0% 토마토 44 17 1.4% 68 14 51 -7 -13.7% 감자 209 17 1.3% 216 28 189 20 10.3% 화훼* 29 18 1.1% 9 12 241 -212 -88.0% 오이(시설) 28 18 1.5% 45 20 53 -25 -47.2% 오리 134,991 21 1.8% 335,453 28 48,617 86,374 177.7% 밤** 46 23 0.3% 65 56 19 27 142.1% 쌀 7,749 24 1.3% 3,196 16 13,762 -6,013 -43.7% 딸기 36 24 0.9% 48 24 43 -7 -16.3% 포도 51 25 0.5% 88 27 120 -69 -57.8% 당근* 3 25 0.2% 1 80 0 3 수박(시설) 43 26 0.8% 90 22 203 -160 -78.8% 시금치(노지)* 4 26 0.2% 4 49 4 0 0.0% 호박(노지)* 19 27 0.7% 19 25 22 -3 -13.6% 살구* 2 29 0.5% 4 10 2 0 0.0% 복숭아 95 29 0.6% 182 18 147 -52 -35.6% 자두 16 31 0.3% 14 27 10 6 60.0% 사과 136 32 0.5% 166 43 104 32 31.2% 고추(시설) 24 35 0.6% 27 18 37 -13 -35.1% 배 36 35 0.4% 159 18 291 -255 -87.5% 참외 0 35 0.0% 0 58 1 -1 -100.0% 콩 326 37 0.8% 628 628 36 290 805.6% 산란계* 416,479 38 0.8% 618,221 15 893,525 -477,046 -53.4% 무 50 39 0.4% 98 25 195 -145 -74.4% 돼지 51,079 41 0.8% 87,518 15 118,309 -67,230 -56.8% 팥 19 45 0.6% 36 23 86 -67 -77.9% 마늘 49 49 0.3% 15 39 175 -126 -72.0% 상추(시설) 6 49 0.3% 13 53 11 -5 -45.5% 보리 24 49 0.2% 5 99 24 0 0.0% 육계* 837,617 52 0.7% 1,076,671 100 1,595,519 -757,902 -47.5% 양파 26 59 0.2% 10 84 7 19 271.4% 떫은감 17 69 0.2% 59 45 8 9 112.5% 단감 12 89 0.1% 6 99 6 6 106.7% 감귤 #N/A #N/A #N/A #N/A ### #N/A #N/A #N/A (자료:농림어업총조사)
주) * 는 2005년과 비교
** 밤, 호두는 2010년, 2015년과 비교
728x90'충북 주요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07 진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07 증평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07 제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07 음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