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충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충북 주요농산물 2022. 8. 7. 18:07
    728x90

    충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충주는 밤, 복숭아, 사과, 참깨, 들깨, 시설상추, 토마토, 옥수수, 땅콩, 시설시금치 등 여러 작물을 집중적으로 아주 많이 재배한다.

     

    밤은 2010년 전국 9위에서 4위로 올라왔는데 면적은 22.3%, 257 ha가 줄었다.

    복숭아는 2000년부터 계속 5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66.5%, 400 ha가 늘어났고, 사과는 6위에서 8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은 27.9%, 402 ha가 줄어들었다.

    참깨는 13위에서 7위로 올라왔는데 면적은 69.2%, 330 ha가 줄어들었고, 들깨는 176.0%, 220 ha가 늘어나서 15위에서 8위로 올라왔다.

    시설상추는 78.1%가 늘어나서 15위에서 4위로 올라왔고, 시설시금치도 72.4%가 늘어서 14위에서 10위로 순위가 높아졌다.

    토마토는 면적이 17.7%가 줄어서 6위에서 8위로 떨어졌고, 옥수수는 45.7%, 101 ha가 늘어나서 12위에서 9위로 올라왔으며 땅콩은 9.7%가 늘어나 전국 10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감귤도 전국 10위인데 면적은 4 ha 밖에 되지 않지만, 20년 전에는 심지 않다가 기후가 변해서 지금은 재배가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매실(2900%), 대추(480%), 떫은감(400%), 호두(346.2%), 살구(300%), 자두(266.7%), 단감(143.3%), 인삼(215.3%), 고구마(109.9%), 시설수박(400%), 양배추(400%) 등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도 기후변화의 영향 때문으로 보인다.

     

    콩은 20005위에서 13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은 37.9%, 439 ha가 줄었다.

    노지고추는 전국 10위에서 36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은 84.3%, 1,329 ha나 줄었다.

    팥도 12위에서 40위로 많이 떨어졌는데 면적은 84.4%, 119 ha가 줄어들었다.

    (92.5%), 마늘(81.4%), 배추(35.8%) 등도 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염소는 2000년 전국 2위에서 16위로 떨어졌는데 사육두수는 58.6%가 줄었다.

    육계도 12위에서 45위로 급락했는데 63.5%나 줄었다.

    젖소(69.3%)도 줄었지만 꿀벌(137.5%), 오리(66.0%), 산란계(48.9%), 한우(42.9%), 돼지(12.5%) 등은 사육두수가 늘었다.

     

    쌀은 면적이 48.0%, 3,444 ha가 줄어서 순위가 53위에서 56위로 조금 떨어졌다.

     

     

    충주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2010 2000 증감면적 증감율
    재배면적 순위 비 율 순위 면 적
    ** 897 4 5.6% 891 9 1,154 -257 -22.3%
    상추(시설) 114 4 4.9% 231 15 64 50 78.1%
    복숭아 1,001 5 6.4% 1,109 5 601 400 66.5%
    참깨 147 7 1.9% 187 13 477 -330 -69.2%
    토마토 79 8 2.4% 67 6 96 -17 -17.7%
    사과 1,039 8 3.7% 1,740 6 1,441 -402 -27.9%
    들깨* 345 8 1.9% 252 15 125 220 176.0%
    옥수수 322 9 2.5% 559 12 221 101 45.7%
    땅콩* 34 10 2.0% 56 10 31 3 9.7%
    시금치(시설) 50 10 3.2% 42 14 29 21 72.4%
    감귤 4 10 0.0% 2 26 0 4  
    꿀벌 12,514 11 1.4% 11,878 41 5,269 7,245 137.5%
    호두** 58 12 1.9% 27 18 13 45 346.2%
    720 13 1.7% 1,283 5 1,159 -439 -37.9%
    자두 55 14 1.2% 34 24 15 40 266.7%
    인삼 186 14 1.7% 169 37 59 127 215.3%
    염소 4,055 16 1.3% 5,564 2 9,802 -5,747 -58.6%
    살구* 4 18 1.0% 2 24 1 3 300.0%
    대추 29 18 0.9% 13 31 5 24 480.0%
    94 18 0.8% 247 51 119 -25 -21.0%
    호박(노지)* 37 19 1.5% 37 24 23 14 60.9%
    감자 157 23 1.0% 253 24 196 -39 -20.1%
    고구마 220 23 1.0% 246 37 105 115 109.9%
    대파 43 26 0.6% 30 48 43 0 0.0%
    시금치(노지)* 4 26 0.2% 1 63 3 1 33.3%
    배추 140 27 0.6% 197 39 218 -78 -35.8%
    산란계* 508,810 28 1.0% 249,969 44 341,653 167,157 48.9%
    참외 1 29 0.0% 0 58 1 0 0.0%
    매실 30 29 0.6% 60 89 1 29 2900.0%
    양채류(시설) 7 32 0.4% 19 35 6 1 16.7%
    고추(노지) 247 36 0.8% 424 10 1,576 -1,329 -84.3%
    수박(시설) 15 36 0.3% 38 101 3 12 400.0%
    오리 25,552 37 0.3% 185,584 52 15,391 10,161 66.0%
    22 40 0.7% 37 12 141 -119 -84.4%
    돼지 54,700 40 0.8% 71,370 47 48,637 6,063 12.5%
    딸기 11 42 0.3% 12 66 6 5 83.3%
    양배추* 5 42 0.1% 2 69 1 4 400.0%
    당근* 1 43 0.1% 7 36 2 -1 -50.0%
    육계* 978,870 45 0.8% 2,501,091 12 2,679,003 -1,700,133 -63.5%
    한육우 17,328 53 0.8% 25,000 46 12,200 5,128 42.0%
    23 55 0.3% 90 15 312 -289 -92.5%
    3,726 56 0.6% 6,161 53 7,170 -3,444 -48.0%
    보리 14 69 0.1% 14 109 17 -3 -17.6%
    호박(시설)* 2 72 0.1% 4 44 9 -7 -77.8%
    떫은감 15 73 0.2% 19 76 3 12 400.0%
    젖소 674 77 0.3% 1,177 69 2,197 -1,523 -69.3%
    오이(시설) 3 79 0.2% 7 30 36 -33 -91.7%
    마늘 22 91 0.1% 31 60 118 -96 -81.4%
    화훼* 8 91 0.3% 2 105 18 -10 -55.6%
    단감 7 104 0.1% 9 113 3 4 143.3%
    포도 4 110 0.0% 13 65 30 -26 -88.0%
    고추(시설) 5 119 0.1% 5 60 12 -7 -58.3%
    양파 3 137 0.0% 6 103 5 -2 -40.0%

     

    (자료:농림어업총조사)

    ) * 2005년과 비교

    ** , 호두는 2010, 2015년과 비교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