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무 주산지 변화(2000~2020)
    채소주산지 2022. 2. 17. 11:38
    728x90

    무 주산지 변화(2000~2020)

     

    무는 2020년 현재 8524농가가 11,795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는 88.7%, 631,238호가, 재배면적은 44.9%, 9,605 ha가 줄어든 것이다. 이런 현상은 재배농가가 98,450호로 줄어든 2010년부터 이미 고착된 것이다.

    농가호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90평에서 483평으로 늘어났지만 2010년과 비교하면 44평 줄어든 것이다.

     

    노지재배와 별도로 하우스에서 재배하는 농가도 3,439(750 ha)가 있지만 20006,096, 1,487 ha에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무도 배추와 마찬가지로 대부분의 농가가 텃밭 규모로 심다가 소규모 농가들이 많이 줄어들고 적은 수의 농가가 시장에 내다 팔기 위한 상업적 영농을 늘린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으로 무 재배면적이 절반 가까이 줄어든 것은 중국산 김치 수입 때문으로 보인다.

     

    2000년 전국적으로 골고루 재배되던 무는 2010년부터 제주도 등 5~6개 지역으로 재배가 집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200032개 지역의 재배 비중이 55.4%를 차지했는데 2020년에는 5개 지역의 비중이 52.2%를 차지할 정도로 주산지가 집중되고 있고 이 중 제주도는 38.4%를 차지하고 있다.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강원도 평창(613.5%), 홍천(40.9%), 정선(285.1%), 강릉(26.5%), 태백((940.0%) 경북 예천(47.7%) 등 비교적 지대가 높은 곳의 재배가 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제주도의 재배면적이 크게 늘어난 것도 기온이 높아져 무 생산성이 높아지고 겨울이 따뜻해져서 봄에 출하하는 봄무를 재배하기에 유리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20001,580 ha로 전국 최대 주산지였던 전북 고창군은 69.3%, 1,095 ha가 줄어들어 4위로 내려앉았다.

    영암(81.9%), 광주 광산구(81.4%), 김제(78.9%), 부안(68.1%), 당진(72.5%), 서산(68.1%), 예산(62.8%), 홍성(61.4%), 태안(60.4%) 등에서 재배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다.

     

    2000년에는 거의 대부분인 97.1%300평 미만의 농사를 짓다가 2020년에는 89.7%로 조금 줄었지만 여전히 아주 영세한 규모이다. 하지만 300평 이상을 재배하는 소수의 농가들이 점차 늘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300~900평 농가는 1.4%에서 3.9%, 900~1,500평 농가는 0.7%에서 2.1%, 1,500~2,100평 농가는 0.3%에서 1.0%3배 정도 늘었다.

    2,100~3,000평 농가는 0.2%에서 0.9%로 늘었고, 3,000평 이상 농가는 0.3%에서 2.4%로 크게 늘어났다. 2 ha이상 농가도 1.2%965호나 된다.

    제주도는 전체 무 재배농가 중 14.6%1~2 ha 규모이고 15.0%2 ha 이상으로 대규모 무 농사를 짓는 것을 알 수 있고, 강원도도 1~2 ha4.3%, 2 ha이상이 3.6%로 대규모 농가가 많다.

     

    무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배면적 비 율 2010 2000 감소면적 감소율
    순위 면 적
      전국 11,795   15,859   21,400 9,605 44.9%
    1  서귀포시 3,026 25.7% 3630 10 346 -2,680 -774.6%
    2    제주시 1,497 12.7% 2112 5 490 -1,007 -205.5%
    3    평창군 685 5.8% 668 67 96 -589 -613.5%
    4    고창군 485 4.1% 699 1 1580 1,095 69.3%
    5    홍천군 462 3.9% 386 12 328 -134 -40.9%
    6    정선군 258 2.2% 396 95 67 -191 -285.1%
    7    당진시 250 2.1% 436 3 909 659 72.5%
    8    강릉시 248 2.1% 455 26 196 -52 -26.5%
    9    영암군 202 1.7% 451 2 1116 914 81.9%
    10    화성시 173 1.5% 187 11 345 172 49.9%
    11    서산시 143 1.2% 181 6 448 305 68.1%
    12    부안군 133 1.1% 182 9 417 284 68.1%
    13    예천군 127 1.1% 149 78 86 -41 -47.7%
    14    무안군 121 1.0% 179 28 189 68 36.0%
    14    이천시 105 0.9% 51 35 161 56 34.8%
    16    부여군 97 0.8% 14 34 165 68 41.2%
    17    홍성군 96 0.8% 79 14 249 153 61.4%
    18    충주시 94 0.8% 247 52 119 25 21.0%
    18    예산군 94 0.8% 83 13 253 159 62.8%
    20    김제시 90 0.8% 270 8 427 337 78.9%
    21    정읍시 86 0.7% 68 24 198 112 56.6%
    22    광산구 82 0.7% 126 7 440 358 81.4%
    23    양구군 80 0.7% 181 99 63 -17 -27.0%
    24    태안군 78 0.7% 127 24 198 120 60.6%
    25    봉화군 72 0.6% 113 57 112 40 35.7%
    26    해남군 70 0.6% 142 60 104 34 32.7%
    27    나주시 68 0.6% 173 4 894 826 92.4%
    28    완주군 66 0.6% 68 29 179 113 63.1%
    29    원주시 60 0.5% 163 23 201 141 70.1%
    29    구미시 60 0.5% 37 33 166 106 63.9%
    31    평택시 59 0.5% 130 17 234 175 74.8%
    31    무주군 59 0.5% 38 104 60 1 1.7%
    33    양주시 58 0.5% 58 54 115 57 49.6%
    34    용인시 54 0.5% 20 41 141 87 61.7%
    35    춘천시 53 0.4% 68 27 190 137 72.1%
    35    영광군 53 0.4% 77 32 169 116 68.6%
    37    여주시 52 0.4% 67 51 119 67 56.3%
    37    태백시 52 0.4% 7 205 5 -47 -940.0%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