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금치(노지) 주산지 변화(2005~2020)채소주산지 2022. 2. 17. 11:25728x90
시금치(노지) 주산지 변화(2005~2020)
시금치는 2020년 현재 2만 4,054 농가가 4,097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노지재배 농가는 전체의 81.0%인 1만 9,480호이고 면적은 61.5%인 2,521 ha를 차지하고 있다.
노지재배는 2005년에 비해 농가수는 20.9%, 5,142호가 줄었고, 재배면적은 21.9%, 706 ha가 줄었다. 2010년 까지는 농가수와 면적이 늘었다가 다시 줄어들었는데 농가수는 30.2%, 8,443호가 줄었다.
평균 재배면적은 2005년 393평, 2010년 375평, 2020년 388평으로 영세한 규모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시설재배 평균 1,034평의 약 1/3 수준이다.
시금치 재배면적이 줄어드는 것은 서양 채소류의 소비가 늘면서 시금치 소비는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지 시금치는 남해와 신안에서 59.1%가 재배될 정도로 주산지가 집중되어 있으며 100 ha가 넘는 경남 고성과 무안까지 합치면 4개 지역에서 74.8%가 재배된다. 100 ha가 넘는 지역은 2005년 7곳에서 4곳으로 줄어들었고 10 ha 이상 재배하는 지역은 30곳에서 17 곳으로 줄었다.
전국의 33.8%를 재배하는 경남 남해는 면적이 두 배 이상 늘어 2015년부터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2010년에는 1위인 신안과 비슷했다.
전남 신안은 2005년에는 988 ha로 2위 보다 2.6배 많은 압도적인 1위였으나 면적이 35.3%, 349 ha가 줄어들어 2015년부터 2위로 내려왔는데 대파를 많이 심은 것 같다.
경남 고성은 2005년 6위였으나 51.9%, 70 ha가 늘어나 3위가 되었으며 무안은 면적이 48.4%가 줄어들어 4위로 내려왔다.
포항(69.0%), 제주시(74.7%), 경주(57.1%), 목포(54.5%), 나주(53.3%), 완주(57.1%), 부산 강서구(92.3%)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줄었다.
영덕(10.5%), 해남(25.0%), 보성(9.1%), 남양주(20.0%) 등은 재배면적이 늘었다.
재배 규모별로 보면 300평 미만의 영세 농가가 2010년 72.3%에서 2020년 71.4%로, 6,000평 이상은 0.4%에서 0.3%로 조금 줄었고 나머지 규모는 다 늘어났다.
300~900평 농가는 17.1%에서 17.3%로, 900~1,500평은 5.7%에서 6.1%로, 1,500~2,100평은 2.0%에서 2.2%로, 2,100~3,000평은 1.3%에서 1.5%로, 3,000~6,000평은 1.1%에서 1.2%로 각각 늘어났다.
시금치(노지) 주산지
순위 지 역 노 지
면 적비율 2010 2005 년 감 소
면 적감소율 순위 면 적 전국 2,521 3,491 3,227 706 21.9% 1 남해군 853 33.8% 887 2 374 -479 -128.1% 2 신안군 639 25.3% 892 1 988 349 35.3% 3 고성군 205 8.1% 163 6 135 -70 -51.9% 4 무안군 189 7.5% 267 3 366 177 48.4% 5 통영시 91 3.6% 134 5 146 55 37.7% 6 여수시 65 2.6% 110 7 124 59 47.6% 7 포항시 61 2.4% 177 4 197 136 69.0% 8 고양시 21 0.8% 26 12 30 9 30.0% 8 영덕군 21 0.8% 42 17 19 -2 -10.5% 10 제주시 20 0.8% 47 9 79 59 74.7% 11 해남군 15 0.6% 22 25 12 -3 -25.0% 11 경주시 15 0.6% 30 11 35 20 57.1% 11 진주시 15 0.6% 39 13 25 10 40.0% 14 사천시 13 0.5% 23 19 16 3 18.8% 15 남양주시 12 0.5% 12 27 10 -2 -20.0% 15 보성군 12 0.5% 7 26 11 -1 -9.1% 17 목포시 10 0.4% 20 14 22 12 54.5%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채소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배추 주산지 변화(2005~2020) (0) 2022.02.17 시금치(시설)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상추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배추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양파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