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훼 주산지 변화(2005~2020)특용작물주산지 2022. 2. 17. 10:18728x90
화훼 주산지 변화(2005~2020)
화훼는 2020년 현재 7,140 농가가 2,673 ha를 재배하는데 3,841 농가(53.8%)가 전체 면적의 55.4%인 1,481 ha를 노지에서 재배하고, 3,299 농가(46.2%)가 44.6%인 1,192 ha를 시설에서 재배해 노지재배가 더 많다. 2005년에도 51.4%의 농가가 재배면적의 68.2%를 노지에서, 48.6%의 농가가 31.8%를 시설에서 재배해 노지재배 비율이 조금 더 높았었다.
전체 재배면적은 2005년 1만 703 ha에 비해 75.0%, 8,030 ha가 줄어들었는데, 노지면적이 5,821 ha가 줄어들었고 시설면적도 2,209 ha가 줄어서 노지 면적이 훨씬 많이 감소했다.
재배 농가는 2005년에 비해 56.3%, 9,204호가 줄었는데 노지재배는 4,564호, 시설재배는 4,640호가 줄어 시설재배 농가가 조금 더 많이 줄었다.
2010년에 비해서 농가수는 10.7%, 859호가 줄었는데 노지재배는 36.9%, 1,035호가 늘고 시설재배는 36.5%, 1,894호가 줄었다. 면적은 22.5%, 774 ha가 줄었는데 거의 없어졌던 노지재배 면적은 50.1% 늘어났고 시설재배는 51.5%가 줄었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1,123평인데 노지재배가 1,157평, 시설재배가 1,084평으로 노지재배가 조금 더 넓다. 2005년에도 전체 평균이 1,965평이었고 노지가 2,606평, 시설이 1,285평으로 노지재배가 2배 이상 넓었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화훼재배가 이처럼 사라질 정도로 많이 줄어든 것은 결혼식, 장례식, 입학식, 졸업식 등 특별한 날에만 꽃을 사는 소비문화가 바뀌지 않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일본 등에 대한 꽃 수출이 줄어든 것도 재배 면적이 줄어든 이유 중 하나로 보인다.
화훼는 주로 대도시나 대도시 인근에서 재배되고 있는데 상위 20개 지역의 면적을 합쳐봐야 점유율이 45.2% 밖에 안 될 정도로 주산지가 분산되어 있고 주산지 변화도 별로 크지 않다.
경기도는 전체의 24.4%를 재배해 1위를 차지했는데 2005년 21.7%였던 것과 비교하면 비중이 조금 더 높아졌다.
전북이 81.7%가 줄어들어 2위에서 5위로 떨어졌지만 다른 도들은 2005년과 거의 비슷한 비중과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경남 김해가 2010년부터 최대 주산지를 유지하고 있는데 전체의 4.9%인 130 ha를 재배한다. 수출용을 주로 재배하는 김해는 대부분 시설재배를 하고 있으며 2005년 보다 56.5%, 169 ha가 줄었다.
경기도 고양은 계속 2위를 하다가 73.8%가 줄어들어 3위로 내려왔다.
이들 지역에 시설화훼가 많은 것은 수출을 위해 공항 주변에서 농사를 짓기 때문으로 보인다.
태안은 면적이 39.9% 밖에 줄지 않아 16위에서 2위로 올라왔는데 노지 면적이 더 많다.
2005년 노지 526 ha, 시설 6 ha 등 모두 532 ha로 1위였던 진주는 98.7%가 줄어들어든 7 ha(노지 5, 시설 2) 밖에 안 되어서 화훼 농사가 거의 사라졌다.
서울 서초구(88.3%), 대구 수성구(87.0%), 광주 광산구(85.1%), 양평(89.1%), 과천(88.5%), 포천(88.2%), 완주(90.9%), 고창(89.0%), 남원(86.2%), 정읍(84.8%), 김제(80.8%), 함평(97.6%), 나주(93.0%), 화순(91.5%), 경남 사천(95.2%), 고성(87.0%), 합천(83.0%), 경산(89.4%), 영주(84.5%), 홍성(84.8%), 서산(82.4%), 청주(88.0%), 제천(84.0%), 영월(80.9%), 서귀포(87.2%) 등은 화훼 농사가 거의 없어졌다.
반면에 홍천(106.7%), 원주(21.4%), 하동(250.0%), 예천(85.7%), 봉화(40.0%), 진안(33.3%), 음성(23.1%) 등은 재배 면적이 늘어났다.
화훼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2020 년 2010 년 2005 년 감소율 노지 시설 합 계 비 율 노지 시 설 순위 노 지 시 설 합 계 전국 1,481 1,192 2,673 987 2,460 7,302 3,401 10,703 75.0% 1 김해시 18 112 130 4.9% 3 289 9 23 276 299 56.5% 2 태안군 59 48 107 4.0% 37 75 16 95 83 178 39.9% 3 고양시 34 72 106 4.0% 9 125 2 99 305 404 73.8% 4 이천시 23 71 94 3.5% 14 63 13 153 54 207 54.6% 5 창원시 53 40 93 3.5% 12 98 8 208 109 317 70.7% 6 순천시 68 5 73 2.7% 69 3 7 316 4 320 77.2% 7 제주시 54 18 72 2.7% 37 34 6 272 53 325 77.8% 8 전주시 53 9 62 2.3% 28 40 21 121 17 138 55.1% 9 용인시 15 44 59 2.2% 5 88 11 68 210 278 78.8% 10 정읍시 47 4 51 1.9% 4 20 5 328 8 336 84.8% 11 파주시 16 29 45 1.7% 9 62 28 15 71 86 47.7% 12 부산강서 9 34 43 1.6% 3 121 19 6 159 165 73.9% 13 서산시 18 18 36 1.3% 11 33 14 159 46 205 82.4% 14 완주군 20 13 33 1.2% 18 19 4 337 25 362 90.9% 15 홍천군 30 1 31 1.2% 1 1 121 13 2 15 -106.7% 15 고창군 28 3 31 1.2% 32 3 10 279 3 282 89.0% 17 예산군 10 20 30 1.1% 3 30 46 21 34 55 45.5% 18 청주시 20 9 29 1.1% 4 5 12 224 17 241 88.0% 19 성남시 9 19 28 1.0% 2 9 23 22 92 114 75.4% 19 강진군 11 17 28 1.0% 3 29 79 12 21 33 15.2% 19 하동군 26 2 28 1.0% 11 8 147 7 1 8 -250.0% 22 화성시 14 13 27 1.0% 12 32 31 46 37 83 67.5% 22 강릉시 13 14 27 1.0% 24 12 63 26 17 43 37.2% 24 해남군 22 4 26 1.0% 2 7 58 32 16 48 45.8% 25 부여군 22 3 25 0.9% 2 9 76 28 9 37 32.4% 25 익산시 19 6 25 0.9% 4 17 27 64 24 88 71.6% 27 광주시 9 15 24 0.9% 11 15 51 28 24 52 53.8% 28 의왕시 11 12 23 0.9% 18 23 35 30 41 71 67.6% 28 안성시 9 14 23 0.9% 5 11 88 15 14 29 20.7% 28 서귀포시 16 7 23 0.9% 14 72 15 70 109 179 87.2% 31 기장군 13 9 22 0.8% 10 14 70 18 22 40 45.0% 32 광주북구 14 7 21 0.8% 5 9 36 57 13 70 70.0% 32 진천군 11 10 21 0.8% 2 29 63 0 42 42 50.0% 32 봉화군 12 9 21 0.8% 0 10 124 6 9 15 -40.0% 35 과천시 2 18 20 0.7% 4 82 17 11 163 174 88.5% 35 하남시 5 15 20 0.7% 1 20 43 14 47 61 67.2% 35 포천시 12 8 20 0.7% 9 15 18 143 27 170 88.2% 35 남원시 6 14 20 0.7% 34 16 20 126 19 145 86.2% 35 진안군 20 0 20 0.7% 6 1 123 14 1 15 -33.3% (자료:농림어업총조사)
728x90'특용작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작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0) 2022.03.14 인삼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들깨 주산지 변화 (2005~2020) (0) 2022.02.17 참깨 주산지 변화 (2000~2020) (0) 2022.02.17 땅콩 주산지 변화(2005~2020) (0)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