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삼 주산지 변화(2000~2020)특용작물주산지 2022. 2. 17. 10:13728x90
인삼 주산지 변화(2000~2020)
인삼은 재배면적이 늘어나는 몇 안 되는 품목 중 하나인데 2020년 현재 6,999 농가가 1만 914 ha를 재배하고 있다. 200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40.0%, 4,670호가 줄었지만 면적은 오히려 18.7%, 1,716 ha가 늘어났다. 최대치를 기록한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36.4%, 면적은 35.9%, 6,114 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000년 2,365평에서 4,678평으로 두 배 정도 늘어나 재배 규모가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인삼 재배가 늘어난 것은 건강식품으로 국내 소비도 늘어났지만 중국 관광객들의 수요가 많이 늘어났기 때문으로 보인다.
인삼은 2000년에는 충청남·북도, 전북에서 71.1%가 재배되었으나 지금은 58.3%로 줄어들었고, 기존 재배 지역의 지력 쇠퇴와 기후 변화의 영향으로 강원도, 경기도, 경북의 재배가 많이 늘고 있다. 특히 강원도는 208.5%, 957 ha가 늘어난 1,416 ha로 전국 4위를 차지했다.
시군별로는 충남 금산은 유일하게 1,000 ha가 넘는 면적으로 2000년부터 계속 압도적인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8.7%, 134 ha 밖에 늘지 않았다.
200 ha를 넘게 재배하는 12개 시군이 53.5%를 차지하고 있는데 2000년 10개 시군이 53.4%를 차지했던 것과 비슷하다. 100 ha 이상 재배하는 지역은 2000년 24 곳에서 30곳으로 늘어났다.
강원도 화천은 1,341.7%가 늘어나 75위에서 16위로 올라왔고, 양구는 2,050%가 늘어나 86위에서 21위로 올라왔다. 홍천(286.2%), 횡성(161.5%) 춘천(232.1%) 등의 면적도 많이 늘었다.
이밖에도 이천(176.4%), 양평(163.0%), 강화(142.9%), 안성(109.3%), 고창(254.1%), 남원(244.4%), 전주(190.2%), 정읍(98.5%), 영광(457.9%), 영암(421.4%), 충주(215.3%), 세종시(412.5%) 등이 면적이 2배 이상 늘어난 지역이다.
보령(81.8%), 천안(41.0%), 홍성(39.1%), 부여(37.6%), 논산(37.5%), 서산(36.8%), 예산(27.3%), 공주(25.0%), 대전 중구(30.6%), 음성(38.9%), 청주(28.2%), 옥천(26.1%), 진천(15.8%), 괴산(13.7%), 진안(34.5%), 익산(27.9%), 완주(11.4%), 영동(27.3%), 해남(23.1%), 파주(53.9%), 포천(45.1%), 화성(35.7%), 철원(14.9%) 등은 재배면적이 줄어들었다.
재배 규모별로 보면 다른 품목과 달리 300평 미만의 영세 농가는 5.5%로 적고 3,000평 이상의 대농이 32.7%를 차지할 정도로 많은데 이 중 9,000평 이상의 대규모 농가도 14.4%나 된다.
300평 미만은 2000년 15.3%에서 5.5%로 크게 줄었고, 300~900평도 26.7%에서 23.4%로, 900~1,500평도 20.3%에서 18.1%로 조금씩 줄었다.
반면에 1,500~2,100평은 10.4%에서 10.5%로, 2,100~3,000평은 9.4%에서 9.7%로, 3,000~4,500평은 5.3%에서 6.4%로 조금 늘었지만 4,500~6,000평은 4.7%에서 7.0%로, 6,000~9,000평은 3.0%에서 4.9%로, 9,000평 이상은 4.9%에서 14.4%로 크게 늘었다.
이처럼 대농들이 많이 늘어나는 것은 새로 인삼 농사를 시작하는 농민들이 아예 9,000평 이상의 대규모로 농사를 짓기 때문이다.
6,000평 이상 농가가 71.4%로 전국에서 비중이 가장 높은 전남 해남은 6,000~9,000평은 7.1%이고 9,000평 이상은 64.3%나 된다.
강원도 화천(18.9%, 47.2%), 홍천(7.9%, 39.1%), 횡성(12.0%, 34.0%), 양구(4.2%, 31.3%), 양평(12.0%, 36.0%), 연천(12.7%, 32.9%), 이천(6.9%, 34.7%), 보은(10.6%, 28.8%), 부안(18.2%, 36.4%), 고창(3.9%, 33.6%), 영암(4.8%, 38.1%), 영주(5.2%, 31.8%) 등이 대규모 인삼 농가가 많은 지역이다.
인삼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배
면적비 율 2010 2000 년 증가
면적증가율 순위 면 적 전 국 10,914 17,028 9,198 1,716 18.7% 1 금산군 1,668 15.3% 1,869 1 1,534 134 8.7% 2 영주시 666 6.1% 526 5 358 308 86.0% 3 괴산군 502 4.6% 774 3 582 -80 -13.7% 4 홍천군 448 4.1% 720 22 116 332 286.2% 5 이천시 445 4.1% 381 12 161 284 176.4% 6 음성군 435 4.0% 702 2 712 -277 -38.9% 7 고창군 432 4.0% 609 21 122 310 254.1% 8 진안군 341 3.1% 643 4 521 -180 -34.5% 9 연천군 250 2.3% 538 10 208 42 20.2% 10 횡성군 238 2.2% 502 28 91 147 161.5% 11 무주군 214 2.0% 248 11 199 15 7.5% 12 옥천군 201 1.8% 295 7 272 -71 -26.1% 13 청주시 196 1.8% 548 6 273 -77 -28.2% 14 춘천시 186 1.7% 307 38 56 130 232.1% 14 충주시 186 1.7% 169 37 59 127 215.3% 16 화천군 173 1.6% 82 75 12 161 1341.7% 17 논산시 170 1.6% 350 7 272 -102 -37.5% 18 보은군 169 1.5% 201 27 92 77 83.7% 19 전주시 148 1.4% 222 41 51 97 190.2% 20 김제시 144 1.3% 252 23 115 29 25.2% 21 양구군 129 1.2% 27 86 6 123 2050.0% 21 정읍시 129 1.2% 128 34 65 64 98.5% 23 세종시 123 1.1% 83 62 24 99 412.5% 24 포천시 117 1.1% 273 9 213 -96 -45.1% 24 완주군 117 1.1% 194 17 132 -15 -11.4% 26 태안군 116 1.1% 84 32 69 47 68.1% 27 안성시 113 1.0% 170 39 54 59 109.3% 28 여주시 106 1.0% 187 35 64 42 65.6% 28 익산시 106 1.0% 120 15 147 -41 -27.9% 28 영광군 106 1.0% 104 65 19 87 457.9% 31 서산시 98 0.9% 207 13 155 -57 -36.8% 32 상주시 96 0.9% 99 40 52 44 84.6% 33 영동군 93 0.9% 129 19 128 -35 -27.3% 34 대전서구 86 0.8% 163 43 47 39 83.0% 34 원주시 86 0.8% 190 31 74 12 16.2% 36 강화군 85 0.8% 121 51 35 50 142.9% 37 화성시 83 0.8% 259 18 129 -46 -35.7% 38 천안시 82 0.8% 162 16 139 -57 -41.0% 39 증평군 81 0.7% 162 49 41 40 97.6% 40 홍성군 78 0.7% 171 19 128 -50 -39.1% 41 대전중구 77 0.7% 98 24 111 -34 -30.6% 42 부안군 75 0.7% 68 46 42 33 78.6% 43 영암군 73 0.7% 167 71 14 59 421.4% 44 예산군 72 0.7% 193 25 99 -27 -27.3% 45 양평군 71 0.7% 173 58 27 44 163.0% 46 파주시 70 0.6% 344 14 152 -82 -53.9% 47 진천군 64 0.6% 219 30 76 -12 -15.8% 48 남원시 62 0.6% 83 68 18 44 244.4% 49 해남군 60 0.5% 190 29 78 -18 -23.1% 50 부여군 58 0.5% 98 26 93 -35 -37.6% 50 장수군 58 0.5% 82 45 45 13 28.9% 52 영월군 56 0.5% 97 51 35 21 60.0% 53 제천시 52 0.5% 63 53 34 18 52.9%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특용작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작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0) 2022.03.14 화훼 주산지 변화(2005~2020) (0) 2022.02.17 들깨 주산지 변화 (2005~2020) (0) 2022.02.17 참깨 주산지 변화 (2000~2020) (0) 2022.02.17 땅콩 주산지 변화(2005~2020) (0) 2022.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