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
-
영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8:18
영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천은 2005년부터 살구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재배하는데 전체의 18.2%로 다른 지역에 비해 월등히 많이 재배하고 있고 면적도 82.5%가 늘어났다. 복숭아도 전체의 9.6%로 전국 최대 주산지인데 2000년 보다 재배면적이 10.0%, 167 ha가 줄어들었다. 포도, 자두도 전국 3위이고, 대추도 10위이며, 사과도 많이 재배해 과일을 많이 키우는 지역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포도는 56.5%, 1,351 ha, 대추는 63.4%, 64 ha, 사과는 59.1%, 614 ha가 각각 줄어들었다. 마늘은 2000년에 비해 면적이 34.4%, 246 ha가 늘어 순위가 13위에서 5위로 껑충 뛰었는데, 양파는 면적이 239 ha가 줄어 순위가 18위로 떨어졌..
-
상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7:09
상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상주는 떫은감, 포도, 배, 복숭아, 시설오이를 많이 심고 한우, 꿀벌, 산란계, 육계를 많이 키우는 경북의 대표적인 농업지역이다. 떫은감은 지역 특산품인 곶감을 만들기 위해 많이 심는데 전국 면적의 12.9%를 차지하고 있고, 2000년부터 계속 2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면적은 149.1%, 720 ha가 늘어났다. 포도도 면적이 13.3%, 166 ha가 늘어서 6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배는 66.0%, 888 ha가 줄어서 2위에서 5위로 떨어졌다. 복숭아는 면적이 299.8%, 489 ha가 늘어나서 17위에서 7위로 순위가 많이 높아졌다. 시설오이는 2.2%가 늘어서 9위에서 3위로 올라왔다. 한우는 7위에서 3위로 올라왔는데 사육두수가 135.7%가 늘..
-
김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7:00
김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김천은 호두와 포도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는 지역이다. 또한 자두, 살구, 복숭아, 참외, 대파, 당근도 많이 심고 산란계와 염소 농가도 많다. 호두는 계속 전국 최대 주산지를 유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6.8%, 18 ha가 줄어들었다. 포도는 면적이 26.1%, 582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3위에서 1위로 올라왔고 전국 면적의 16.7%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는 39.3%, 578 ha가 줄어서 전국 1위에서 2위로 떨어졌지만 전국의 19.4%에 달하는 891 ha에 심고 있다. 살구는 14.3%가 늘었지만 순위는 4위로 한 단계 떨어졌다. 참외는 성주와의 경쟁에서 밀려서 81.7%, 403 ha가 줄어들었고 3위에서 5위로 떨어졌다. 복숭아는 면적이 135...
-
영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충북 주요농산물 2022. 8. 7. 17:50
영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동은 호두, 포도, 자두, 복숭아 떫은감 등 과일을 많이 재배한다. 포도는 2000년 1위에서 4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이 65.2%, 1,568 ha가 줄었다. 호두는 면적이 11.6%가 늘었지만 순위는 2위에서 3위로 내려왔다. 자두는 면적이 34.2%가 줄어서 3위에서 6위로 떨어졌다. 복숭아는 231.5%, 616 ha가 늘어서 13위에서 6위로 올라왔고, 떫은감도 314.1%, 201 ha가 늘어서 10위에서 7위로 올라왔다. 살구는 면적이 1 ha가 늘었지만 순위는 7위에서 18위로 많이 밀렸다. 매실(600%), 대추(75.0%), 땅콩(400%), 들깨(145.6%), 고구마(36.8%) 등은 재배면적이 큰 폭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무(92.4%), ..
-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과일주산지 2022. 2. 17. 12:34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포도는 2020년 현재 2만 3,301농가가 9,851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53.0%, 2만 6,318호가, 재배면적은 53.7%, 1만 1,409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는 34.8%, 1만 2,464호가, 재배면적은 40.6%, 6,733 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1,285평에서 2020년 1,268평으로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포도는 2004년 체결된 한칠레 FTA 영향으로 년중 칠레로부터 많은 포도가 수입되어 가장 큰 피해를 본 품목이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00년 2만 1,260ha에서 8,027ha로 62.2%, 1만 3,33 ha가 줄었고, 시설재배..
-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과일주산지 2018. 10. 12. 16:48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 포도는 2015년 현재 2만 9,313농가가 1만 3,705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5년에 비해 농가수는 22.3%, 8,411호가, 재배면적은 14.0%, 2,223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재배면적이 늘어났던 2010년에 비해서는 1,910호, 2,879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5년 1,267평에서 2015년 1,403평으로 136평 늘어났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10년 1만 4,457ha에서 1만 1,714ha로 2,743ha가 줄었고 시설재배는 2,127ha에서 1,991ha로 136ha가 줄어 노지재배가 더 많이 줄어 든 것을 알 수 있다. 농가수는 노지재배가 19.8%, 6,188호, 시설재배가 5.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