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과일주산지 2022. 2. 17. 12:34728x90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포도는 2020년 현재 2만 3,301농가가 9,851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53.0%, 2만 6,318호가, 재배면적은 53.7%, 1만 1,409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는 34.8%, 1만 2,464호가, 재배면적은 40.6%, 6,733 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1,285평에서 2020년 1,268평으로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포도는 2004년 체결된 한칠레 FTA 영향으로 년중 칠레로부터 많은 포도가 수입되어 가장 큰 피해를 본 품목이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00년 2만 1,260ha에서 8,027ha로 62.2%, 1만 3,33 ha가 줄었고, 시설재배는 2000년에는 거의 없었는데 2020년에는 1,824 ha로 늘어나 전체의 18.5%를 차지하고 있다. 시설재배는 2010년에 비해서 약 300 ha가 줄어들었다.
시설재배 농가는 2010년 4,542호에서 2020년 4,308호로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평균 재배면적은 1,405평에서 1,270평으로 약간 줄어들었다.
포도는 전국에서 200 ha 이상을 재배하는 8개 시군이 6,742 ha, 68.4%를 재배할 정도로 주산지가 집중되어 있다.
경북 김천시가 1,650 ha로 전국 최대 주산지인데 면적이 26.1% 밖에 줄지 않았기 때문이며, 시설재배면적은 2010년에 비해 오히려 111 ha가 늘어났다. 2000년 1위였던 경북 영동군은 면적이 65.2% 줄어들어 4위로 떨어졌다.
경북 상주시는 면적이 13.3% 늘어난 총 1,412ha로 2위를 차지했는데 노지재배와 시설재배가 함께 늘어났다. 상주시는 사과, 배 재배를 줄이고 포도와 복숭아, 곶감용 떫은감 재배를 늘린 것으로 보인다.
전북 남원시는 126 ha에서 238 ha로 89.1%가 늘어나 26위에서 8위로 껑충 뛰어올랐는데 시설재배면적이 147 ha로 61.5%를 차지해 시설재배 비율이 아주 높다.
주요 주산지중 옥천(71.3%)이 시설재배 비율이 가장 높고 논산(67.5%), 남원(61.5%), 대전 동구(47.1%) 김천(33.5%), 청주(31.2%), 거창(25.1%), 밀양(23.2%) 등이 높다.
아산(92.3%), 천안(76.6%), 대전 동구(73.7%), 옥천(71.9%), 영동(65.2%), 경주(84.4%), 칠곡(80.4%), 대구 동구(73.1%), 대구 수성구(62.2%), 밀양(78.8%), 김제(73.1%), 김포(79.0%), 안성(71.2%), 안산(68.4%), 등이 면적이 비교적 많이 줄어든 시군이다.
부여(210.5%)과 영월(24.8%)은 재배면적이 늘었다.
재배규모별로 보면 300평 미만 농가는 2000년 8.0%에서 2020년 11.5%로 늘어났고, 300~2,100평 규모는 77.7%에서 73.4%로 줄어들었다. 2,100평 이상 농가는 약간씩 늘고 있는데 9,000평(3 ha) 이상 농가도 26호로 0.1%를 차지하고 있다.
재배 품종을 보면 2010년에 가장 많이 심었던 캠벨이 71.2%에서 42.6%로 크게 줄어들었고, 신품종인 샤인머스캣이 26.8%로 2위를 차지했다. 거봉도 13.9%에서 15.6%로 늘어나 3위이고, 포도주용으로 주로 쓰이는 머스캣베리에이(머루포도)가 10.2%에서 6.8%로 줄어들어 4위를 차지했다. 씨 없는 포도인 델라웨어도 0.4% 재배하고 있다.
포도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2020년 2010 년 2000 년 감소율 노 지 시 설 재배면적 노 지 시 설 순위 면 적 전 국 8,027 1,824 9,851 14,457 2,127 21,260 53.7% 1 김천시 1,097 553 1,650 1,709 442 3 2,232 26.1% 2 상주시 1,298 115 1,412 1,557 70 6 1,246 -13.3% 3 영천시 1,027 13 1,041 1,858 40 2 2,391 56.5% 4 영동군 682 157 838 1,546 249 1 2,406 65.2% 5 경산시 639 40 678 1,062 66 5 1,473 54.0% 6 화성시 471 28 498 853 31 7 801 37.8% 7 천안시 336 52 387 793 37 4 1,657 76.6% 8 남원시 92 147 238 140 195 26 126 -89.1% 9 안성시 158 10 168 260 20 8 583 71.2% 10 안산시 145 23 167 389 80 10 529 68.4% 11 옥천군 44 110 154 135 202 9 550 71.9% 12 가평군 86 55 142 274 1 21 206 31.3% 13 거창군 99 33 132 178 26 16 274 51.9% 14 김제시 100 23 123 212 103 11 458 73.1% 15 포천시 108 5 113 146 1 23 132 14.6% 16 대구수성구 105 4 109 171 4 15 287 62.2% 17 구미시 67 18 85 73 4 33 92 7.9% 18 무주군 72 3 75 74 3 30 107 29.6% 19 대구동구 67 2 69 109 2 18 256 73.1% 19 대전동구 36 32 69 66 26 17 261 73.7% 21 부여군 53 12 65 75 14 77 21 -210.5% 22 김포시 54 9 64 151 7 14 302 79.0% 23 강화군 53 1 54 84 4 31 104 48.3% 24 논산시 17 35 52 40 57 35 90 41.9% 25 경주시 49 2 51 175 3 13 329 84.4% 25 청주시 35 16 51 76 12 27 120 57.8% 27 영월군 48 2 50 88 2 56 40 -24.8% 27 칠곡군 38 12 50 103 19 19 253 80.4% 29 밀양시 31 9 40 78 16 22 189 78.8% 29 세종시 39 1 40 95 0 29 114 65.4%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과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복숭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단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떫은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감귤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