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7:36728x90
영양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양은 노지고추를 많이 심는 지역이다.
노지고추는 2000년 5위에서 3위로 올라왔는데 면적은 다른 지역 보다 적은 52.3%, 1,063 ha가 줄어들었다.
배추는 대부분의 지역이 많이 줄어든 것과는 달리 면적이 3.3%가 늘어나서 16위에서 12위로 올라왔다.
사과도 104.9%, 221 ha가 늘어나서 30위에서 15위로 올라왔는데 기온이 올라가면서 지대가 높은 서늘한 지역으로 주산지가 옮겨갔기 때문으로 보인다.
호두(1000.0%), 자두(600.0%), 복숭아(430.0%), 시설고추(1100.0%), 양파(166.7%), 옥수수(129.4%) 등도 면적이 큰 폭으로 늘었는데 기후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 같다.
또한 인삼, 단감, 매실, 땅콩 등은 새롭게 심는 것을 볼 수 있다.
마늘과 시설오이는 완전히 없어졌고 감자(97.0%), 참깨(87.4%), 콩(30.9%) 등은 면적이 많이 줄었다.
축산은 한우(28.6%)는 사육두수가 늘었지만 육계(97.4%), 산란계(76.8%), 젖소(78.6%), 염소(73.5%), 꿀벌(53.0%) 등은 줄었으며 오리와 돼지는 키우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쌀은 면적이 71.3%, 894 ha가 줄어서 139위에서 160위로 많이 떨어졌다.
영양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년 2010년 2000년 증감면적 증감율 재배면적 순위 비 율 순위 면 적 고추(노지) 971 3 3.1% 1,739 5 2,034 -1,063 -52.3% 배추 341 12 1.5% 283 16 330 11 3.3% 사과 432 15 1.5% 421 30 211 221 104.9% 상추(시설) 1 26 0.7% 4 159 1 0 0.0% 자두 14 33 0.3% 17 62 2 12 600.0% 호두** 22 35 0.7% 16 53 2 20 1000.0% 콩 291 40 0.7% 524 43 421 -130 -30.9% 양배추* 5 42 0.1% 31 37 7 -2 -28.6% 수박(시설) 8 45 0.2% 26 66 17 -9 -52.9% 복숭아 21 68 0.1% 24 117 4 17 430.0% 고추(시설) 12 72 0.3% 6 172 1 11 1100.0% 포도 9 73 0.1% 18 66 28 -19 -67.5% 양파 16 73 0.1% 5 93 6 10 166.7% 옥수수 39 76 0.3% 16 91 17 22 129.4% 인삼 8 86 0.1% 17 140 0 8 양채류(시설) 1 87 0.1% 2 76 1 0 0.0% 배 11 90 0.1% 25 104 42 -31 -74.3% 염소 1,073 94 0.4% 1,821 49 4,055 -2,982 -73.5% 무 14 98 0.1% 20 93 69 -55 -79.7% 살구* 0 106 0.0% 0 69 0 0 호박(노지)* 3 110 0.1% 4 47 9 -6 -66.7% 대추 4 114 0.1% 14 31 5 -1 -20.0% 젖소 130 117 0.0% 7 126 607 -477 -78.6% 꿀벌 2,332 127 0.3% 8,770 43 4,957 -2,625 -53.0% 땅콩* 1 132 0.1% 1 109 0 1 참깨 12 134 0.2% 20 102 95 -83 -87.4% 한육우 2,462 141 0.1% 3,898 146 1,914 548 28.6% 시금치(노지)* 0 141 0.0% 0 170 0 0 오이(시설) 0 145 0.0% 3 107 5 -5 -100.0% 보리 1 145 0.0% 1 112 14 -13 -92.9% 팥 3 146 0.1% 12 114 16 -13 -81.3% 들깨* 19 150 0.1% 14 122 6 13 216.7% 쌀 360 160 0.1% 913 139 1,254 -894 -71.3% 산란계* 1,515 167 0.0% 3,871 170 6,522 -5,007 -76.8% 단감 1 168 0.0% 0 171 0 1 대파 1 185 0.0% 1 200 2 -1 -50.0% 화훼* 0 188 0.0% 4 178 1 -1 -100.0% 매실 2 192 0.0% 4 122 0 2 감자 5 200 0.0% 64 33 164 -159 -97.0% 육계* 60 201 0.0% 1,073 180 2,312 -2,252 -97.4% 밤** 0 208 0.0% 0 185 0 0 고구마 3 225 0.0% 15 128 21 -18 -84.3% 마늘 0 230 0.0% 2 130 26 -26 -100.0% 당근* #N/A #N/A #N/A #N/A #N/A #N/A #N/A #N/A 시금치(시설) #N/A #N/A #N/A #N/A #N/A #N/A #N/A #N/A 토마토 #N/A #N/A #N/A #N/A #N/A #N/A #N/A #N/A 딸기 #N/A #N/A #N/A #N/A #N/A #N/A #N/A #N/A 참외 #N/A #N/A #N/A #N/A #N/A #N/A #N/A #N/A 호박(시설)* #N/A #N/A #N/A #N/A #N/A #N/A #N/A #N/A 떫은감 #N/A #N/A #N/A #N/A #N/A #N/A #N/A #N/A 감귤 #N/A #N/A #N/A #N/A #N/A #N/A #N/A #N/A 돼지 #N/A #N/A #N/A #N/A #N/A #N/A #N/A #N/A 오리 #N/A #N/A #N/A #N/A #N/A #N/A #N/A #N/A (자료:농림어업총조사)
주) * 는 2005년과 비교
** 밤, 호두는 2010년, 2015년과 비교
728x90'경북 주요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20 울릉도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20 예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20 성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20 영덕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8.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