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기도 주요농산물 2022. 6. 19. 17:17728x90
안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안성은 한우와 배를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이 키우며 돼지, 젖소, 시설 오이, 포도, 대파 등도 전국 10위 안에 들어간다.
배는 67 ha가 늘어난 1,177 ha로 전국의 13.6%를 차지하는 2위를 하고 있으며 인근 아산과 함께 전국 최대 배 주산지를 이루고 있다.
한우는 86.3%가 늘어난 6만 1,036두로 2000년부터 계속 2위를 지키고 있다.
돼지는 10.1%가 줄어들어서 전국 3위에서 6위로 떨어졌고, 젖소는 44.8%가 줄어들었지만 순위는 계속 6위를 차지하고 있다.
오리는 2배 가까이 늘어나서 16위로 순위가 조금 올라왔고, 육계는 65.2%가 늘어나 16위로 순위가 많이 올랐으며 산란계는 2.3%가 줄어들어서 순위가 19위로 조금 떨어졌다.
염소 사육두수는 절반 정도 줄었고 양봉은 조금 늘어났다.
시설 오이는 33.%가 줄었지만 순위는 8위로 조금 올랐고, 포도는 71.2%, 415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한 단계 밖에 떨어지지 않았다.
대파는 면적이 94.1%가 늘어나 순위가 26위에서 10위로 많이 올라왔다.
양파(1,116.7%), 대추(466.7%), 들깨(474.1%), 옥수수(218.2%), 감자(188.4%), 인삼(109.3%)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났는데 기후변화의 영향도 있는 것 같다.
참깨(81.7%), 노지 고추(76.5%), 배추(70.7%), 무(67.2%), 마늘(49.2%), 복숭아(43.6%) 등은 면적이 많이 줄어들었는데 노동력 부족 때문으로 보인다.
쌀은 44.9%, 4,739 ha가 줄어들어서 전국 41위를 차지하고 있다.
안성 주요농산물 2020
품 목 2020 년 2010년 2000년 증감면적 증감율 재배면적 순위 비 율 순위 면 적 한육우 61,036 2 2.7% 83,861 2 32,757 28,279 86.3% 배 1,177 2 13.6% 981 5 1,110 67 6.1% 돼지 167,201 6 2.6% 196,156 3 186,018 -18,817 -10.1% 젖소 8,130 6 3.0% 11,735 6 14,734 -6,604 -44.8% 오이(시설) 59 8 3.2% 75 10 89 -30 -33.7% 포도 168 9 1.7% 280 8 583 -415 -71.2% 대파 132 10 1.8% 126 26 68 64 94.1% 양채류(시설) 21 15 1.3% 16 61 2 19 950.0% 오리 176,418 16 2.3% 257,628 19 64,761 111,657 172.4% 육계* 2,059,619 18 1.6% 1,436,498 43 1,246,590 813,029 65.2% 산란계* 738,708 19 1.4% 930,850 11 1,016,482 -277,774 -27.3% 시금치(시설) 10 19 0.6% 17 71 3 7 233.3% 감자 159 22 1.0% 95 77 55 104 188.4% 땅콩* 11 27 0.6% 9 21 17 -6 -35.3% 인삼 113 27 1.0% 170 39 54 59 109.3% 상추(시설) 14 28 0.6% 18 43 15 -1 -6.7% 화훼* 23 28 0.9% 16 88 29 -6 -20.7% 양파 73 29 0.6% 9 93 6 67 1116.7% 대추 17 31 0.5% 2 56 3 14 466.7% 당근* 2 31 0.1% 1 80 0 2 마늘 61 36 0.3% 58 58 120 -59 -49.2% 쌀 5,805 41 1.0% 8,551 27 10,544 -4,739 -44.9% 살구* 1 43 0.2% 1 24 1 0 0.0% 들깨* 155 44 0.8% 119 64 27 128 474.1% 자두 9 46 0.2% 4 33 6 3 50.0% 무 41 46 0.3% 24 46 125 -84 -67.2% 옥수수 70 46 0.5% 31 74 22 48 218.2% 복숭아 42 51 0.3% 72 28 74 -32 -43.6% 팥 16 53 0.5% 17 88 27 -11 -40.7% 염소 1,716 56 0.6% 972 67 3,150 -1,434 -45.5% 고구마 87 59 0.4% 115 50 68 19 27.6% 참깨 44 60 0.6% 53 48 241 -197 -81.7% 콩 217 60 0.5% 346 60 332 -115 -34.6% 보리 15 63 0.1% 11 172 0 15 밤** 9 69 0.1% 10 78 10 -1 -10.0% 고추(노지) 156 72 0.5% 259 40 665 -509 -76.5% 호박(시설)* 2 72 0.1% 5 52 6 -4 -66.7% 호박(노지)* 6 72 0.2% 7 82 4 2 50.0% 양배추* 1 76 0.0% 1 69 1 0 0.0% 시금치(노지)* 1 79 0.0% 1 86 2 -1 -50.0% 배추 48 89 0.2% 92 58 164 -116 -70.7% 수박(시설) 1 92 0.0% 1 91 4 -3 -75.0% 사과 16 93 0.1% 26 77 23 -7 -30.9% 고추(시설) 7 100 0.2% 4 75 9 -2 -22.2% 토마토 4 101 0.1% 6 53 11 -7 -63.6% 딸기 2 105 0.1% 0 125 0 2 꿀벌 3,168 106 0.3% 1,568 96 2,465 703 28.5% 호두** 4 108 0.1% 4 53 2 2 100.0% 매실 6 131 0.1% 18 89 1 5 500.0% 떫은감 2 144 0.0% 2 138 0 2 단감 2 152 0.0% 2 139 1 1 50.0% 참외 #N/A ### #N/A #N/A ### #N/A #N/A #N/A 감귤 #N/A ### #N/A #N/A ### #N/A #N/A #N/A (자료:농림어업총조사)
주) * 는 2005년과 비교
** 밤, 호두는 2010년, 2015년과 비교
728x90'경기도 주요농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7.02 용인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 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 화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 남양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0) 2022.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