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
평창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3:07
평창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평창은 감자와 노지 상추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는다. 당근, 배추, 무, 대파, 양배추 등도 아주 많이 심는다. 감자는 2000년에 비해서 면적이 50.5%, 1,522 ha가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최대 주산지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노지상추는 전체 재배면적의 17.1%인 122 ha로 최대 주산지인데 시설상추도 50.0%가 늘어서 순위가 97위에서 5위로 아주 많이 올라왔다. 당근은 2005년 보다 39.9%가 줄었지만 순위는 3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배추는 2000년 보다 328.8%, 1,029 ha가 늘어서 18위에서 2위로 올라왔고, 무는 613.5%, 589 ha가 늘어서 66위에서 3위로 올라와 여름 채소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대파도 약 69배인..
-
태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3:01
태백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태백은 배추와 양배추를 많이 심는데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으로 보인다. 배추는 여름에 출하하는 고랭지 배추를 주로 재배하는데 면적이 107배, 643 ha가 늘어나서 205위에서 5위로 치고 올라왔고, 2010년에는 991 ha 까지 심었었다. 양배추도 422.2%, 76 ha가 늘어나서 23위에서 8위로 올라왔다. 무도 940.0%가 늘어서 191위에서 37위로 치고 올라왔다. 전에는 심지 않았던 사과, 배, 살구, 떫은감, 단감, 참깨, 들깨, 고구마 등을 새롭게 심는 것도 기후가 변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축산은 산란계(454.4%), 꿀벌(109.6%), 한우(109.2%) 등은 사육두수가 많이 늘어났고, 돼지(90.4%), 육계(81...
-
삼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2:14
삼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삼척은 고랭지 배추를 많이 심는다. 고랭지 배추는 2000년 101위에서 9위로 급부상했는데 면적은 481.4%, 467 ha가 늘어난 것으로 기후가 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가장 많이 심어 전국 5위였던 2010년과 비교하면 322 ha가 줄어들었다. 양배추도 216.7%가 늘어나서 23위에서 11위로 올라왔는데 비슷한 이유로 보인다. 사과(792.5%), 호두(700.0%), 매실(500.0%), 떫은감(266.7%), 포도(76.4%), 딸기(800.0%) 등이 큰 폭으로 늘었는데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보인다. 콩은 2000년 17위에서 48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은 62.9%, 425 ha가 줄어들었다. 보리(86.3%), 감자(62.1%), 마늘(73.0%),..
-
배추 주산지 변화(2000~2020)채소주산지 2022. 2. 17. 11:18
배추 주산지 변화(2000~2020) 노지배추는 2020년 현재 14만 5,022농가가 2만 2,236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81.7%, 62만 674호가, 재배면적은 19.7%, 5,443 ha가 줄어들었다.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17.7%, 3만 1,270호, 재배면적은 21.3%, 6,034 ha가 줄어든 것인데 재배농가의 구조조정은 이미 2010년에 이뤄졌다고 볼 수 있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000년 108평에서 2010년 481평으로 4배 이상 늘었다가 2020년 460평으로 조금 줄었는데 거의 모든 농가가 텃밭 규모로 조금씩 심다가 대부분의 농가는 재배를 포기하고 경쟁력 있는 농가들이 시장에 출하할 목적으로 규모를 많이 늘린 것을 알 수 있다. 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