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자
-
홍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3:17
홍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홍천은 노지호박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는다. 또한 옥수수, 감자, 당근, 인삼, 무, 들깨, 양배추, 고추도 많이 심으며 시설농업도 발달한 강원도의 농업 중심지이다. 노지호박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배면적이 줄었는데 홍천은 30.9%, 59 ha나 늘어나서 3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옥수수도 75.2%, 331 ha가 늘어서 4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감자는 4위를 하고 있는데 면적은 44.2%, 547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올라왔다. 당근은 257.1%가 늘어나서 11위에서 4위로 올라왔다. 인삼도 286.2%, 332 ha가 늘어서 22위에서 4위로 급상승했는데 2010년에는 720 ha로 3위 까지 했었다. 무도 40.9%, 134 ha가 늘어서 12위에서..
-
평창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3:07
평창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평창은 감자와 노지 상추를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는다. 당근, 배추, 무, 대파, 양배추 등도 아주 많이 심는다. 감자는 2000년에 비해서 면적이 50.5%, 1,522 ha가 줄었지만 여전히 전국 최대 주산지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노지상추는 전체 재배면적의 17.1%인 122 ha로 최대 주산지인데 시설상추도 50.0%가 늘어서 순위가 97위에서 5위로 아주 많이 올라왔다. 당근은 2005년 보다 39.9%가 줄었지만 순위는 3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배추는 2000년 보다 328.8%, 1,029 ha가 늘어서 18위에서 2위로 올라왔고, 무는 613.5%, 589 ha가 늘어서 66위에서 3위로 올라와 여름 채소 공급을 책임지고 있다. 대파도 약 69배인..
-
강릉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2:04
강릉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강릉은 감자, 배추, 무, 당근, 들깨, 옥수수 등을 많이 재배한다. 감자는 2000년 3위에서 2위로 올라왔는데 면적은 59.4%, 1,240 ha가 줄었다. 주로 여름에 출하하는 고랭지 배추는 14위에서 6위로 많이 높아졌는데 면적이 84.3%, 296 ha가 늘었다. 무도 26.5%가 늘어나서 26위에서 8위로 급상승했는데 가장 많았던 2010년에 비하면 거의 절반 수준으로 줄었다. 당근은 37.5%가 줄었지만 순위는 계속 8위를 유지하고 있다. 들깨는 202.7%, 229 ha나 늘어나서 18위에서 9위로 올라왔다. 옥수수도 95.5%. 149 ha가 늘어나서 15위에서 10위로 높아졌다. 떫은감, 살구, 보리, 고구마, 호두, 단감 등의 재배면적이 큰 폭..
-
서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3. 14. 10:56
서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감자, 고구마 등 서류는 2020년 현재 37만 8,338 농가가 3만 8,888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40.2%, 25만 4,050호, 재배면적은 13.7%, 6,161 ha가 줄어들었다. 노지에서 키우는 서류는 고구마를 더 많이 재배하고 있으며, 평균 재배면적은 감자가 299평, 고구마가 315평으로 모두 영세한 규모이지만 고구마는 재배면적이 늘어나면서 2000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넓어졌다. 감자는 연작 피해와 기후변화로 주산지가 조금씩 바뀌고 있는데 강원도와 제주도의 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충청남도, 경기도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겨울에 월동을 하고 1~2월에 출하하는 제주도는 감귤에 이어 도내 2위 농산물이었던 감자 대신 월동..
-
감자 주산지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2. 17. 11:01
감자 주산지 변화(2000~2020) 감자는 2020년 현재 16만 4,145농가가 1만 6,385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46.2%, 14만 1,017호가, 면적은 37.6%, 9,885 ha가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도 농가수는 27.4%, 면적은 25.1% 줄어들어 꾸준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258평에서 299평으로 별로 변화 없이 소규모로 많은 농가가 재배하고 있다. 감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재배면적이 줄어든 것은 수입감자에 비해 값이 비싸고 맛이 없으며, 연작에 따른 더뎅이병 등 병충해 때문으로 보인다. 감자는 여름에 출하되는 것과 노지에서 월동을 하고 봄에 출하되는 것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여름 감자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