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감자 주산지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2. 17. 11:01728x90
감자 주산지 변화(2000~2020)
감자는 2020년 현재 16만 4,145농가가 1만 6,385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46.2%, 14만 1,017호가, 면적은 37.6%, 9,885 ha가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도 농가수는 27.4%, 면적은 25.1% 줄어들어 꾸준한 비율로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258평에서 299평으로 별로 변화 없이 소규모로 많은 농가가 재배하고 있다.
감자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는데도 재배면적이 줄어든 것은 수입감자에 비해 값이 비싸고 맛이 없으며, 연작에 따른 더뎅이병 등 병충해 때문으로 보인다.
감자는 여름에 출하되는 것과 노지에서 월동을 하고 봄에 출하되는 것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여름 감자는 주로 강원도에서, 봄 감자는 제주도 등 남부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감자는 연작 피해와 기후변화로 주산지가 조금씩 바뀌고 있는데 강원도와 제주도의 면적이 크게 줄어들고 충청남도, 경기도의 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충청남도(1,723 ha)는 강원도(5,304 ha)에 이어 2위, 경기도(1,698 ha)는 3위를 차지했다.
줄어든 면적은 2000년 1위부터 5위 까지 차지한 평창, 강릉, 홍천, 서귀포, 제주에 집중되어 있는데 전체 감소면적의 67.4%인 6,664 ha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겨울에 월동을 하고 1~2월에 출하하는 제주도는 감귤에 이어 도내 2위 농산물이었던 감자 대신 월동 무 등 월동채소로 작물을 바꾼 것으로 보인다. 서귀포는 85.0%, 제주시는 64.7%가 줄어들었다.
강원도 평창군은 2000년부터 지금 까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여름 감자 최대 주산지인데 면적이 50.5%, 1,522 ha가 줄어들었다.
강원도 인제(67.3%), 고성(66.7%), 양양(65.6%), 삼척(62.1%), 영월(59.7%), 강릉(59.4%), 횡성(54.9%), 화천(53.9%), 정선(50.7%), 홍천(44.2%), 춘천(40.2%) 등의 면적이 크게 줄었다.
봄 감자 재배는 영광(66.9%), 장흥(62.8%), 해남(42.2%), 남원(61.7%), 김해(61.3%) 등에서 많이 줄었다.
겨울 기온이 올라가면서 봄 감자 재배지역이 많이 북상하고 있는데 경기도 안성(188.4%), 고양(172.1%), 광주시(50.4%), 평택(31.6%), 화성(25.6%), 용인(25.4%), 김포(12.7%), 남양주(6.7%) 충남 부여(371.4%), 천안(170.5%), 태안(33.2%) 홍성(25.7%), 서산(18.5%), 예산(15.1%) 의 재배 면적이 많이 늘었다.
부안(486.7%), 나주(228.6%), 영암(142.1%) 등의 봄 감자 재배 면적도 크게 늘었다.
감자는 영세 규모인 300평 미만이 2000년 88.5%, 2010년 87.0%, 2020년 87.9%로 여전히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다른 규모의 농가들의 비중도 별로 변화가 없으며 3,000평 이상 대규모 농가는 1.4%에서 1.5%로 조금 늘었다.
제주시는 1~2 ha 농가 비중이 전체 감자 농가의 14.4%, 2 ha 이상이 15.2%로 대규모 농가가 가장 많다. 서귀포는 18.9%, 7.7%를 각각 차지하고 있다.
강원도 평창(12.7%, 9.4%), 정선(7.0%, 7.3%), 양구(5.7%, 5.2%), 홍천(3.3%, 4.0%), 인제(2.3%, 1.2%), 경남 밀양(10.9%, 3.6%), 창녕(6.3%, 3.5%), 경북 고령(8.9%, 4.6%), 전북 김제(7.1%, 9.3%), 부안(4.5%, 3.2%), 전남 해남(5.7%, 6.4%), 영암(1.8%, 7.3%), 영광(2.4%, 4.8%), 나주(3.1%, 3.5%) 등에 대규모 농가가 많은데 봄 감자 재배 지역에 대농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감자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배면적 비 율 2010 2000 년 감소면적 감소율 순위 면적 전 국 16,385 21,878 26,270 9,885 37.6% 1 평창군 1,493 9.1% 2,115 1 3,014 1,522 50.5% 2 강릉시 848 5.2% 1,038 3 2,088 1,240 59.4% 3 홍천군 691 4.2% 791 5 1,238 547 44.2% 4 제주시 666 4.1% 1,186 4 1,887 1,221 64.7% 5 보성군 665 4.1% 789 8 713 48 6.7% 6 당진시 470 2.9% 756 10 620 150 24.2% 7 서산시 436 2.7% 516 17 368 -68 -18.5% 8 정선군 420 2.6% 435 7 853 433 50.7% 9 횡성군 418 2.5% 479 6 926 508 54.9% 10 서귀포시 376 2.3% 1,225 2 2,510 2,135 85.0% 11 김제시 364 2.2% 653 11 512 148 28.9% 12 봉화군 300 1.8% 397 12 487 188 38.5% 13 양구군 270 1.6% 231 20 258 -12 -4.7% 14 밀양시 243 1.5% 148 18 318 75 23.6% 15 춘천시 237 1.4% 287 14 397 160 40.2% 16 원주시 230 1.4% 265 23 220 -10 -4.3% 17 청주시 209 1.3% 216 28 189 -20 -10.3% 18 인제군 204 1.2% 294 9 623 419 67.3% 19 고령군 188 1.1% 222 15 394 206 52.3% 20 구미시 184 1.1% 76 19 277 93 33.6% 21 괴산군 166 1.0% 230 39 141 -25 -17.7% 22 안성시 159 1.0% 95 77 55 -104 -188.4% 23 충주시 157 1.0% 253 24 196 39 20.1% 24 홍성군 155 0.9% 229 47 123 -32 -25.7% 25 상주시 151 0.9% 209 42 135 -16 -11.5% 26 남원시 144 0.9% 330 16 376 232 61.7% 27 안동시 135 0.8% 238 37 147 12 8.4% 28 화성시 128 0.8% 146 55 102 -26 -25.6% 29 김천시 126 0.8% 157 35 156 30 19.0% 30 여주시 120 0.7% 156 45 123 3 2.6% 31 제천시 114 0.7% 190 26 190 77 40.3% 32 이천시 113 0.7% 119 49 117 4 3.2% 33 창녕군 111 0.7% 124 13 429 318 74.1% 34 용인시 105 0.6% 107 61 84 -21 -25.4% 34 예천군 105 0.6% 151 66 74 -31 -42.2% 36 천안시 100 0.6% 92 100 37 -63 -170.5% 37 부여군 99 0.6% 32 121 21 -78 -371.4% 37 양평군 99 0.6% 120 46 123 24 19.7% 39 파주시 97 0.6% 104 54 102 5 4.5% 40 삼척시 94 0.6% 117 21 248 154 62.1% 41 고양시 93 0.6% 68 103 34 -59 -172.1% 42 해남군 90 0.6% 331 34 156 66 42.2% 42 거창군 90 0.5% 184 22 225 135 60.0% 44 부안군 88 0.5% 99 140 15 -73 -486.7% 45 영주시 87 0.5% 139 38 143 56 39.4% 46 평택시 84 0.5% 93 71 64 -20 -31.6% 47 예산군 83 0.5% 94 67 72 -11 -15.1% 48 영암군 82 0.5% 43 106 34 -48 -142.1% 49 광주시 80 0.5% 94 79 53 -27 -50.4% 50 아산시 77 0.5% 111 62 81 4 5.2% 51 함양군 76 0.5% 164 50 113 37 32.5% 52 남양주시 75 0.5% 86 69 70 -5 -6.7% 52 태안군 75 0.5% 115 76 56 -19 -33.2% 54 나주시 72 0.4% 34 119 22 -50 -228.6% 55 장흥군 71 0.4% 129 26 190 119 62.8% 56 공주시 70 0.4% 89 65 74 4 5.4% 56 포항시 70 0.4% 109 41 135 65 48.2% 56 동해시 70 0.4% 89 48 122 53 43.0% 59 영월군 69 0.4% 96 32 172 103 59.7% 59 김해시 69 0.4% 67 30 178 109 61.3% 61 포천시 67 0.4% 101 52 109 42 38.6% 61 양양군 67 0.4% 83 25 194 127 65.6% 61 김포시 67 0.4% 87 73 59 -8 -12.7%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두류,서류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콩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고구마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팥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18.11.20 콩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18.11.20 감자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18.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