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과일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과일주산지 2022. 3. 14. 10:15
    728x90

    과일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사과, , 복숭아 등 과일류는 2020년 현재 273,277 농가가 127,993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15.0%, 48,350, 재배면적은 25.5%, 43,809 ha가 줄어든 것이다.

     

    과일은 사과, 복숭아, 감귤, 포도, 떫은감, 단감 순으로 많이 재배하는데 2000년에는 사과, , 감귤, 포도, 단감, 복숭아 순으로 많이 심었다.

     

    사과는 2000년부터 계속 제일 많이 심는 과일인데 재배면적은 7.1%, 농가는 9.8% 각각 줄어든 것이다. 농가수도 제일 많으며 평균 재배면적도 2,195평으로 산에 심는 밤을 제외하고는 제일 넓다.

    복숭아는 재배면적이 21.1%, 농가가 0.6%가 늘어나 두 번째로 많은 심는 과일이 되었다. 재배 농가수는 3위를 기록하고 있고, 평균면적은 2000년에 비해 20.4% 늘어난 1,440평이다.

    감귤은 2000년에 비해 전체 재배면적은 40.6%, 농가수는 18.3% 각각 줄어들었지만 시설감귤은 면적이 160.0%, 농가수는 99.4% 각각 늘어났다.

    포도는 재배면적과 재배농가가 모두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2000년에는 거의 없었던 시설재배 농가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포도 품종별로는 캠벨에 이어 신품종인 샤인머스캣이 26.8%2위를 차지하고 있다.

    떫은감은 홍시와 곶감의 수요가 늘면서 재배면적은 119.5%, 재배농가는 87.8%나 늘어났고, 평균면적도 16.9% 넓어졌다.

    단감은 재배면적과 농가가 절반 정도 줄었지만 여전히 여섯 번째로 많이 심는 과일이다.

    배는 2000년에는 두 번째로 많이 심었는데 면적이 65.0%, 농가가 73.4%나 줄어들어 7위로 내려왔지만 평균면적은 31.7%나 늘었다.

    매실은 소비가 늘어나면서 재배면적은 371.5%, 농가수는 351.7%

    씩 늘어났다.

    살구와 자두, 대추도 소비가 늘면서 재배면적과 재배농가가 많이 늘어난 과일이다.

    견과류 소비가 많아지면서 호두 재배도 2010년에 비해 재배면적은 145.7%, 농가수는 125.7%가 각각 늘었다.

    밤은 수확기 노동력 부족으로 2010년에 비해 재배면적이 40.2%, 농가수는 32.4% 각각 줄어들었다.

     

    과일류 재배현황 2020

    품 목 2020 2010 2000 증 감 율
    재배
    면적
    농가수 평균
    면적
    재배
    면적
    농가수 재배
    면적
    농가수 평균
    면적
    재배
    면적
    농가수
    합 계 127,993 273,277   161,976 302,530 171,802 321,627   -25.5% -15.0%
    사 과 28,246 38,608 2,195 32,789 38,765 30,421 42,796 2,133 -7.1% -9.8%
    8,685 11,898 2,190 16,110 22,589 24,784 44,717 1,663 -65.0% -73.4%
    복숭아 15,657 32,621 1,440 13,381 26,385 12,934 32,434 1,196 21.1% 0.6%
    포 도 9,851 23,301 1,268 16,584 35,765 21,260 49,619 1,285 -53.7% -53.0%
    노지 8,027 18,993 1,268 14,457 31,223 21,260 49,619 1,285 -62.2% -61.7%
    시설 1,824 4,308 1,270 2,127 4,542          
    단 감 8,884 28,322 941 11,365 28,443 17,475 53,733 976 -49.2% -47.3%
    떫은감 9,327 32,812 853 13,620 42,634 4,250 17,476 730 119.5% 87.8%
    감 귤 14,902 23,361 1,914 21,169 27,041 25,080 28,581 2,633 -40.6% -18.3%
    노지 11,343 17,003 2,001 18,253 21,818 23,711 25,393 2,801 -52.2% -33.0%
    시설 3,559 6,358 1,679 2,916 5,223 1,369 3,188 1,288 160.0% 99.4%
    자 두 4,599 16,251 849 4,748 16,107 3,548 12,481 853 29.6% 30.2%
    매 실 5,252 27,726 568 7,773 31,970 1,114 6,138 544 371.5% 351.7%
    살 구* 401 3,123 385 377 2,404 204 1,895 323 96.6% 64.8%
    ** 15,929 12,525 3,815 17,997 14,004 26,646 18,530 4,314 -40.2% -32.4%
    호 두** 3,076 7,679 1,202 2,477 5,770 1,252 3,402 1,104 145.7% 125.7%
    대 추 3,184 15,050 635 3,586 10,653 2,834 9,825 865 12.4% 53.2%

     

    (자료:농림어업총조사)

    ) *  : 살구는 2005년과 비교

        ** : , 호두는 2010, 2015년과 비교

    728x90

    '과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과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배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복숭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단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