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과 주산지 변화(2000~2020)과일주산지 2022. 2. 17. 12:46728x90
사과 주산지 변화(2000~2020)
사과는 2020년 현재 3만 8,608농가가 2만 8,284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는 9.8%, 4,188호가, 재배면적은 7.1%, 2,157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사과 재배면적은 2010년 3만 2,789 ha로 조금 늘었다가 다시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196평으로 2000년 2,133평에 비해 63평 늘어났다.
사과는 지난 20년간 기후 변화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은 작물 중 하나로 대구, 경북, 충북, 충남에서 경기, 강원, 경남, 전북으로 재배 지역이 확대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경북은 2000년 전체 면적의 65.9%를 차지했었는데 2020년 59.2%로 줄어들었고, 충남은 8.0%에서, 4.9%로 크게 줄었다. 강원도는 0.9%에서 3.7%로, 전북은 3.1%에서 6.3%로, 경남은 7.0%에서 9.3%로, 경기도는 1.8%에서 2.0%로 많이 늘어나고 있다.
대구, 경북에서도 청송, 봉화 등 기온이 낮은 산간지역으로 재배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전북의 진안(404.5%), 무주(353.4%), 장수(197.5%) 등 산간지역의 재배면적은 엄청나게 늘고 있다.
경북 청송은 전체의 11.1%인 3,146 ha를 재배하는 전국 최대 주산지인데 면적이 81.0% 늘어 4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강원도에서는 정선(208ha), 양구(195ha), 홍천(103ha), 영월(91ha), 경기도에서는 포천(89ha), 파주(54ha), 가평(54ha) 등에서 주로 많이 재배한다. 특히 정선군은 2000년 1ha 밖에 심지 않았는데 208ha로 늘었고, 홍천군은 4ha에서 103ha로 크게 늘었다. 철원군도 5ha에서 52ha로 10배 이상 늘었다.
사과 재배농가는 300평 미만의 소규모 농가와 6,000평 이상의 대규모 농가가 많이 늘어나는 양극화 현상을 보이고 있다.
사과를 300평 미만 재배하는 농가는 2000년 4.7%에서 2020년 15.1%로 3배 이상 늘었는데 경기도(49.7%), 강원도(28.2%), 전남(49.0%)에서 새로 사과를 재배하는 농민들이 시험 삼아 조금씩 재배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6,000평 이상 대규모 농가는 2000년 4.0%에서 2020년 5.4%로 늘었는데 김제(14.6%), 장성(11.5%), 장수(11.0%), 예산(10.7%), 문경(10.2%), 양구, 의성, 태안, 당진, 안동 등에서 기존 사과 농가들이 면적을 확대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재배하는 품종은 오랫동안 저장이 가능한 부사가 76.0%로 제일 많고 추석에 출하되는 홍로가 11.8%로 다음을 차지하고 감홍(1.6%), 홍옥(1.5%), 루비에스(0.9%) 양광(0.5%)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재배면적이 1,500미만의 소규모 농가에서는 홍로를 많이 심고
1,500평이 넘는 농가에서는 만생종인 부사를 많이 심는데 저장시설이 없는 소농들은 추석에 출하할 수 있는 품종을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특이하게도 전라북도는 홍로(45.0%)와 부사(47.6%)의 비율이 비슷한데 추석 제수용 사과 수요에 특화시켜서 재배하기로 한 것 같다.
홍로는 충북(20.0%), 경남(19.1%), 강원(14.4%), 전남(14.2%), 경기(13.5%)가 많이 심고, 부사는 경북(86.5%), 대구(76.4%), 충남(73.4%), 등이 비교적 많이 심는다.
사과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배면적 비율 2010년 2000년 감소면적 감소율 순위 면 적 전 국 28,264 32,789 30,421 2,157 7.1% 1 청송군 3,146 11.1% 2,648 4 1,738 -1,408 -81.0% 2 영주시 2,342 8.3% 2,989 1 2,917 575 19.7% 3 안동시 2,330 8.2% 2,947 3 2,581 251 9.7% 4 의성군 1,794 6.3% 2,751 2 2,914 1,121 38.5% 5 문경시 1,443 5.1% 1,515 7 1,333 -110 -8.3% 6 봉화군 1,311 4.6% 1,347 10 1,127 -184 -16.3% 7 거창군 1,297 4.6% 1,567 9 1,157 -140 -12.1% 8 충주시 1,039 3.7% 1,740 6 1,441 402 27.9% 9 포항시 912 3.2% 927 14 803 -109 -13.5% 10 예산군 816 2.9% 1,085 8 1,238 422 34.1% 11 무주군 735 2.6% 416 35 162 -573 -353.4% 12 밀양시 677 2.4% 704 22 362 -315 -87.0% 13 예천군 643 2.3% 753 15 760 117 15.4% 14 장수군 640 2.3% 606 29 215 -425 -197.5% 15 영양군 432 1.5% 421 30 211 -221 -104.9% 16 영덕군 430 1.5% 480 24 301 -129 -42.8% 17 함양군 426 1.5% 554 18 469 43 9.2% 18 영천시 424 1.5% 782 11 1,038 614 59.1% 19 보은군 413 1.5% 460 25 287 -126 -43.9% 20 제천시 374 1.3% 601 17 472 98 20.8% 21 괴산군 369 1.3% 476 26 286 -83 -29.2% 22 상주시 368 1.3% 782 5 1,468 1,100 74.9% 23 김천시 345 1.2% 410 16 504 159 31.5% 24 영동군 336 1.2% 404 21 369 33 9.0% 25 군위군 271 1.0% 529 12 924 653 70.7% 26 단양군 218 0.8% 223 33 177 -41 -23.0% 27 정선군 208 0.7% 52 1 -207 -20690.0% 28 양구군 195 0.7% 52 60 47 -148 -314.3% 29 음성군 177 0.6% 223 31 203 26 12.9% 30 당진시 171 0.6% 317 20 370 199 53.9% 31 장성군 157 0.6% 136 42 107 -50 -46.3% 32 청주시 136 0.5% 166 43 104 -32 -31.2% 33 대구 동구 125 0.4% 150 38 145 20 13.7% 33 청도군 120 0.4% 158 23 307 187 60.9% 35 남원시 112 0.4% 90 56 55 -57 -102.9% 35 성주군 109 0.4% 137 32 194 85 43.7% 37 홍천군 103 0.4% 13 4 -99 -2472.5% 38 경주시 102 0.4% 212 19 443 341 77.0% 39 영월군 91 0.3% 81 63 43 -48 -111.6% 40 포천시 89 0.3% 80 62 45 -44 -96.7% 41 아산시 85 0.3% 140 28 228 143 62.6% 41 구미시 85 0.3% 136 27 239 154 64.6% 43 대구 북구 71 0.3% 39 79 21 -50 -238.1% 44 산청군 65 0.2% 61 58 53 -12 -21.9% 45 수성구 64 0.2% 39 81 20 -44 -219.5% 46 서산시 58 0.2% 66 47 75 17 23.2% 47 경산시 57 0.2% 51 54 58 1 2.4% 48 진안군 56 0.2% 107 88 11 -45 -404.5% 49 달서구 55 0.2% 26 78 22 -33 -149.1% 50 파주시 54 0.2% 20 76 24 -30 -126.7% 50 가평군 54 0.2% 77 40 119 65 54.9% 52 철원군 52 0.2% 8 5 -47 -934.0% 53 이천시 51 0.2% 68 39 134 83 61.8% 54 전주시 50 0.2% 71 84 17 -33 -194.1%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과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일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0) 2022.03.14 배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복숭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단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