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추 주산지 변화(2000~2020)채소주산지 2022. 2. 17. 11:22728x90
상추 주산지 변화(2000~2020)
상추는 2020년 현재 2만 5,598 농가가 2,628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시설재배가 71.6%인 1,881 ha이고 노지재배는 28.4%인 747 ha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농가수는 시설재배가 28.5%이고 노지재배는 71.5%이다.
시설재배 면적은 2000년 3,759 ha에 비해 50.0%인 1,878 ha가 줄어들었고 재배농가도 57.3%가 감소했다. 최고치를 기록한 2010년에 비해서는 면적은 54.0%, 농가수는 24.8%가 줄어들었다.
노지재배 면적과 농가수는 조금씩 꾸준한 비율로 줄어들고 있다.
시설재배 농가의 평균 재배면적은 772평으로 2000년 658평 보다 조금 늘었지만 2010년 1,262평과 비교하면 많이 줄었다. 노지재배 농가의 평균면적은 123평으로 매우 영세한 규모이다.
상추 재배가 줄어든 것은 다양한 쌈채류가 시장에 공급되면서 소비가 감소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노지재배는 강원도 평창(122 ha), 횡성(58 ha), 홍천(37 ha) 등의 면적이 늘어나면서 29.1%가 재배될 정도로 주산지가 집중되고, 예전에 많이 심었던 대구 북구, 부산 금정구, 기장군 등은 도시 개발로 거의 심지 않고 있다.
시설재배 주산지는 2000년에는 서울 근교에 집중되어 있다가 지금은 서울 이외의 대도시 주변으로 옮겨가면서 주산지별 재배규모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2000년 100 ha가 넘는 11개 시군의 비중이 55.1%를 차지했고, 이 중 부산 강서구, 논산, 완주 등을 제외한 8 곳이 서울 주변이었다. 서울의 강동구(62 ha), 양천구(33 ha), 강남구(29 ha) 등에서도 상추를 많이 재배했었다. 하지만 지금은 100 ha 이상 재배 지역이 5 곳으로 줄었고, 전국 곳곳에서 조금씩 재배해 경기도의 비중이 54.7%에서 24.3%로 절반 이하로 떨어졌다.
경기도 이천은 면적이 138.2%, 141 ha가 늘어난 243 ha로 2000년 10위에서 1위로 올라왔는데 벼 재배를 줄이고 논에 하우스를 설치해 상추 재배를 한 것 같다.
2000년 474 ha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1위였던 경기도 남양주는 대규모 아파트 개발과 각종 규제 때문에 69.8%, 331 ha가 줄어들어 3위로 내려왔다.
충남 논산은 79.2%, 95 ha가 늘어난 215 ha로 9위에서 2위로 올라왔는데 딸기를 줄이고 상추를 많이 심은 것 같다.
장수(766.7%), 남원(393.3%), 익산(265.6%), 청양(1,800%), 부여(425.0%), 합천(733.3%), 하동(366.7%), 성주(322.2%), 충주(50.0%)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늘어났다.
재배 규모별로는 전체의 62.2%를 차지하는 300평 미만 농가와 1.7%를 차지하는 6,000평 이상 농가만 늘었고 나머지는 비중이 다 줄어들었다.
300~900평 농가는 22.0%에서 17.0%로, 900~1,500평은 8.9%에서 8.5%로, 1,500~2,100평은 4.6%에서 3.9%로, 2,100~3,000평은 6.4%에서 3.1%로, 3,000~6,000평은 4.6%에서 3.6%로 각각 줄어들었다.
순위 지 역 시설 노지 합계 비율 2010 시 설 2000 년 시설감소 감소율 순위 시설 전 국 1,881 747 2,628 4,086 3,759 1,878 50.0% 1 이천시 243 13 256 9.7% 248 10 102 -141 -138.2% 2 논산시 215 25 240 9.1% 495 9 120 -95 -79.2% 3 남양주시 143 12 155 5.9% 385 1 474 331 69.8% 4 충주시 114 16 130 4.9% 231 15 64 -50 -78.1% 5 평창군 6 122 128 4.9% 4 103 4 -2 -50.0% 6 익산시 117 10 127 4.8% 107 21 32 -85 -265.6% 7 남원시 74 22 96 3.7% 196 43 15 -59 -393.3% 8 완주군 67 8 75 2.9% 58 11 101 34 33.7% 9 횡성군 7 58 65 2.5% 6 140 2 -5 -250.0% 10 고양시 39 13 52 2.0% 133 5 161 122 75.8% 11 부여군 42 3 45 1.7% 11 71 8 -34 -425.0% 12 하동군 42 2 44 1.7% 29 58 9 -33 -366.7% 13 홍천군 4 37 41 1.6% 7 85 6 2 33.3% 13 김해시 33 8 41 1.6% 152 26 24 -9 -37.5% 15 성주군 38 2 40 1.5% 25 58 9 -29 -322.2% 16 강서구 30 8 38 1.4% 242 4 194 164 84.5% 17 하남시 35 2 37 1.4% 105 6 156 121 77.6% 18 양평군 29 3 32 1.2% 77 14 76 47 61.8% 19 장수군 26 4 30 1.1% 32 126 3 -23 -766.7% 20 포천시 27 2 29 1.1% 55 26 24 -3 -12.5% 21 대구북구 23 4 27 1.0% 55 12 89 66 74.2% 21 광주시 23 4 27 1.0% 119 3 221 198 89.6% 21 합천군 25 2 27 1.0% 16 130 3 -22 -733.3% 24 청양군 19 1 20 0.8% 1 187 1 -18 -1800.0% 25 제주시 9 10 19 0.7% 14 58 9 0 0.0% 26 용인시 14 4 18 0.7% 91 2 262 248 94.7% 26 영양군 1 17 18 0.7% 4 198 1 0 0.0% 28 안성시 14 2 16 0.6% 18 43 15 1 6.7% 28 여주시 13 3 16 0.6% 34 58 9 -4 -44.4% 28 김제시 13 3 16 0.6% 31 26 24 11 45.8% 28 광양시 14 2 16 0.6% 4 58 9 -5 -55.6% 32 대구동구 9 5 14 0.5% 24 74 7 -2 -28.6% 32 당진시 8 6 14 0.5% 27 72 8 0 0.0% 상추 주산지 2020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채소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금치(시설)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시금치(노지) 주산지 변화(2005~2020) (0) 2022.02.17 배추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양파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마늘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