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팥 주산지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2. 17. 11:12728x90
팥 주산지 변화(2000~2020)
팥은 2020년 현재 4만 3,820농가가 3,040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78.7%, 16만 1,695호가, 면적은 60.9%, 4,739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수는 47.2% 줄었지만 면적은 16.6% 밖에 줄지 않아 이미 2010년에 어느 정도 구조조정이 끝난 것 같다.
재배농가의 평균면적은 2000년 114평에서 2010년 132평, 2020년 208평으로 배 가까이 늘었지만 여전히 텃밭 수준으로 작은 면적이다.
팥 재배가 줄어든 것은 값싼 외국산이 많이 수입되기 때문이지만 최근 디저트용 등 팥의 수요가 늘면서 2015년 조금 늘었다가 다시 줄고 있다.
2000년에는 강원도, 충북, 경북의 산간지역에서 54.8%가 재배되고 있었는데 이들 지역의 인구 감소와 노령화로 지금은 35.6% 밖에 재배되지 않고, 정부가 2018년부터 논에 팥을 심으면 지원금을 주면서 전남, 충남, 경기도에서도 많이 심고 있으며 전남이 27.3%로 강원도를 제치고 최대 주산지가 되었다.
2000년 팥을 100 ha 이상 재배하는 지역은 전국 산간지대 19곳 이었으나 지금은 5곳으로 줄었는데 전남 신안이 4.9%로 1위이고 장흥도 4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금은 규모가 큰 주산지들이 없어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조금씩 심고 있고 주산지가 많이 바뀌는 것을 볼 수 있다.
전남 신안은 2000년 47 ha로 47위였으나 국내 최대 제과 프랜차이즈와 팥빙수용 팥을 계약 재배하면서 면적이 198%가 늘어나 4.9%를 재배하는 전국 최대 주산지가 되었다.
강원도 평창은 2000년 423 ha로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1위였으나 2010년부터 면적이 많이 줄어 지금은 13위로 내려앉았다.
무안(364.7%), 함평(27.0%), 나주(17.6%), 장흥(14.1%), 부안(100%), 고창(11.8%), 태안(69.2%), 연천(159.4%), 정선(15.3%), 경주(16.3%) 등은 재배면적이 늘어났다.
평창(88.9%), 인제(88.6%), 홍천(85.5%), 보은(93.4%), 옥천(88.3%), 제천(85.0%), 충주(84.4%), 괴산(81.7%), 영천(89.4%), 문경(88.9%), 상주(87.9%) 등에서는 팥이 거의 사라졌다.
재배 규모별로는 300평 미만이 2000년 94.7%에서 87.7%로 조금 줄었고 다른 규모들은 모두 조금씩 늘어났다.
300~900평은 3.5%에서 8.1%로 가장 많이 늘어났고, 3,000평 이상도 0.1%에서 0.5%로 늘었는데 이 중 6,000평 이상 대농도 0.2%나 된다.
900~1,500평은 1.1%에서 2.5%로, 1,500~2,100평은 0.3%에서 0.7%로, 2,100~3,000평은 0.2%에서 0.4%로 조금씩 늘었다.
팥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 배
면 적비 율 2010 2000 년 감 소
면 적감소율 순위 면적 전국 3,040 3,647 7,779 4,739 60.9% 1 신안군 149 4.9% 45 47 50 -99 -198.0% 2 영월군 136 4.5% 110 6 182 46 25.3% 3 정선군 128 4.2% 94 17 111 -17 -15.3% 4 장흥군 105 3.5% 50 20 92 -13 -14.1% 5 횡성군 101 3.3% 131 3 273 172 63.0% 6 연천군 83 2.7% 40 77 32 -51 -159.4% 7 나주시 80 2.6% 55 31 68 -12 -17.6% 8 무안군 79 2.6% 38 111 17 -62 -364.7% 9 정읍시 54 1.8% 31 36 60 6 10.0% 10 영암군 51 1.7% 60 39 56 5 8.9% 11 경주시 50 1.6% 38 57 43 -7 -16.3% 12 단양군 49 1.6% 69 10 150 101 67.3% 13 평창군 47 1.5% 102 1 423 376 88.9% 13 함평군 47 1.5% 44 65 37 -10 -27.0% 15 고흥군 45 1.5% 34 50 48 3 6.3% 16 홍천군 42 1.4% 118 2 289 247 85.5% 17 고창군 38 1.3% 28 73 34 -4 -11.8% 17 영광군 38 1.3% 33 43 54 16 29.6% 19 천안시 37 1.2% 25 64 38 1 2.6% 19 해남군 37 1.2% 40 61 41 4 9.8% 21 제천시 36 1.2% 83 4 240 204 85.0% 22 함양군 35 1.2% 88 14 128 93 72.7% 23 강진군 33 1.1% 32 74 33 0 0.0% 23 봉화군 33 1.1% 28 22 87 54 62.1% 25 서산시 32 1.1% 27 55 45 13 28.9% 25 부안군 32 1.1% 36 114 16 -16 -100.0% 27 원주시 31 1.0% 28 21 90 59 65.6% 27 괴산군 31 1.0% 27 7 169 138 81.7% 27 화순군 31 1.0% 48 16 112 81 72.3% 27 예천군 31 1.0% 34 11 142 111 78.2% 31 제주시 29 1.0% 43 49 49 20 40.8% 32 순천시 28 0.9% 31 31 68 40 58.8% 32 안동시 28 0.9% 32 27 76 48 63.2% 34 임실군 27 0.9% 35 28 72 45 62.5% 35 공주시 26 0.9% 25 28 72 46 63.9% 36 당진시 25 0.8% 23 82 29 4 13.8% 36 예산군 25 0.8% 19 72 34 9 26.5% 38 홍성군 23 0.8% 33 50 48 25 52.1% 38 문경시 23 0.8% 33 5 208 185 88.9% 40 화성시 22 0.7% 25 42 55 33 60.0% 40 충주시 22 0.7% 37 12 141 119 84.4% 40 태안군 22 0.7% 18 128 13 -9 -69.2% 43 평택시 21 0.7% 19 84 28 7 25.0% 43 보성군 21 0.7% 44 24 84 63 75.0% (자료 : 농림어업총조사)
728x90'두류,서류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0) 2022.03.14 두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0) 2022.03.14 콩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고구마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감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