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깨
-
예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7:33
예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예천은 호두, 참깨, 땅콩, 시설고추, 참외, 사과, 무 등을 많이 재배한다. 호두는 전국의 6.3%를 차지하는 2위인데 면적이 273.1%, 142 ha가 늘어나 5위에서 순위가 올랐다. 참깨는 다른 지역 보다 적게 줄어들어서 6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땅콩은 61.1%, 80 ha가 줄어서 2위에서 6위로 떨어졌다. 시설고추는 7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45.0%가 줄어들었다. 참외는 76.6%가 줄었지만 순위는 15위에서 10위로 올라왔다. 사과는 15.4% 밖에 줄어들지 않아서 15위에서 13위로 올라왔다. 무는 다른 지역과는 달리 47.7%가 늘어나서 78위에서 13위로 급상승했다. 한우는 2000년 보다 43.5%가 늘었지만 다른 지역이 더 많..
-
안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경북 주요농산물 2022. 8. 20. 17:12
안동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안동은 노지고추를 전국에서 제일 많이 재배한다. 또한 참깨, 콩, 사과, 자두, 호두, 참외, 호박도 많이 심는다. 노지고추는 2000년부터 계속 전국 1위를 하고 있는데 면적은 57.2%, 1,721 ha가 줄었다. 참깨는 79.1%, 1,096 ha가 줄어서 전국 1위에서 3위로 떨어졌다. 콩은 대부분의 지역이 줄어든 것과 달리 면적이 24.0%, 231 ha가 늘어서 6위에서 3위로 올라왔다. 사과는 면적이 9.7% 밖에 줄어들지 않아서 계속 3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전국 면적의 8.2%를 차지하고 있다. 자두는 304.3%, 70 ha가 늘어서 17위에서 7위로 순위가 많이 높아졌다. 호두도 214.3%, 60 ha가 늘어서 계속 8위를 유지하고 있다. 참외..
-
특작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특용작물주산지 2022. 3. 14. 11:01
특작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참깨, 들깨, 인삼, 화훼 등 특작류는 2020년 현재 28만 9,674 농가가 4만 47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55.2%, 35만 6,781호, 재배면적은 31.0%, 1만 7,956 ha가 줄어들었다. 특작류 중에서 들깨는 재배 농가와 면적이 모두 2배 이상 늘었고, 인삼은 농가는 40.0%가 줄었지만 면적은 18.7%가 늘었다. 참깨 농사가 거의 다 없어질 정도로 줄어든 것은 외국산 값싼 참깨와 참기름이 많이 수입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기계화가 어려워 사람이 일일이 일을 해야 하는 특성상 농민들의 노령화로 일할 사람이 줄어든 것도 주요한 이유로 분석 된다. 또한 고온 건조한 조건에서 잘 자라는 참깨가 최근 이상 기후가 잦아지면서 긴..
-
참깨 주산지 변화 (2000~2020)특용작물주산지 2022. 2. 17. 10:04
참깨 주산지 변화 (2000~2020) 참깨는 2020년 현재 10만 832 농가가 7,945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81.3%, 43만 7,441호가, 재배면적은 74.6%, 2만 3,288 ha가 각각 줄었다. 2010년에 이미 농가수와 면적은 지금과 비슷한 규모로 줄었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36평으로 2000년 174평 보다 35.6% 늘었지만 여전히 영세하다. 참깨 농사가 거의 다 없어질 정도로 줄어든 것은 외국산 값싼 참깨와 참기름이 많이 수입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 기계화가 어려워 사람이 일일이 일을 해야 하는 특성상 농민들의 노령화로 일할 사람이 줄어든 것도 주요한 이유로 분석 된다. 또한 고온 건조한 조건에서 잘 자라는 참깨가 최근 이상 기후가 잦아지면서 긴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