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수수
-
홍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3:17
홍천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홍천은 노지호박을 전국에서 가장 많이 심는다. 또한 옥수수, 감자, 당근, 인삼, 무, 들깨, 양배추, 고추도 많이 심으며 시설농업도 발달한 강원도의 농업 중심지이다. 노지호박은 대부분의 지역에서 재배면적이 줄었는데 홍천은 30.9%, 59 ha나 늘어나서 3위에서 1위로 올라왔다. 옥수수도 75.2%, 331 ha가 늘어서 4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감자는 4위를 하고 있는데 면적은 44.2%, 547 ha가 줄었지만 순위는 올라왔다. 당근은 257.1%가 늘어나서 11위에서 4위로 올라왔다. 인삼도 286.2%, 332 ha가 늘어서 22위에서 4위로 급상승했는데 2010년에는 720 ha로 3위 까지 했었다. 무도 40.9%, 134 ha가 늘어서 12위에서..
-
영월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2:42
영월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영월은 팥, 옥수수, 배추를 많이 심는다. 팥은 2000년 보다 면적이 25.3%가 줄어들기는 했지만 순위는 6위에서 2위로 올라왔다. 옥수수는 2000년 전국 1위였었으나 32.3%, 219 ha가 줄어들어서 5위로 떨어졌다. 배추도 2.8%가 줄어들어서 6위에서 7위로 떨어졌다. 들깨는 2005년 6위에서 37위로 떨어졌는데 면적은 5.6%, 10 ha 밖에 줄어들지 않았다. 콩은 2000년 10위에서 30.7%가 줄어서 15위로 떨어졌는데 2010년에는 면적이 1,135 ha로 전국 8위를 하기도 했다. 무(90.5%), 노지고추(71.8%), 감자(59.7%) 등은 재배면적이 많이 줄었다. 사과(111.6%), 자두(200.0%), 복숭아(138.9%), ..
-
원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강원도 주요농산물 2022. 8. 14. 12:29
원주 주요농산물 변화(2000~2020) 원주는 들깨와 옥수수를 많이 재배한다. 들깨는 2005년 전국 1위에서 3위로 내려왔는데 면적은 93.5%, 187 ha가 늘었지만 다른 지역이 더 많이 늘어났기 때문이다. 옥수수도 전국 3위인데 85.1%, 275 ha가 늘어서 2000년 6위에서 순위가 높아졌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대추(1900.0%), 자두(333.3%), 밤(52.0%), 고구마(100.1%) 등이 큰 폭으로 늘었고, 단감, 살구, 호두, 매실 등을 새롭게 심는 것을 볼 수 있다. 지역 특산물인 배는 면적이 75.8%, 127 ha가 줄었고, 복숭아도 2010년 까지 늘어서 순위가 11위로 올라갔다가 면적이 30.3%, 83 ha가 줄어서 17위 까지 떨어졌다. 콩(60.9%), 참깨(7..
-
곡물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곡물주산지 2022. 3. 8. 12:58
곡물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쌀, 보리, 옥수수 등 곡물류는 2020년 현재 115만 3,165 농가가 62만 1,944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29.0%, 47만 591호, 재배면적은 41.6%, 44만 3,376 ha가 줄어든 것이다. 쌀은 103만 5,193 농가가 59만 5,405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25.2%, 34만 8,275호, 재배면적은 40.2%, 39만 9,798 ha가 줄어든 것이다. 쌀의 평균 재배면적은 2000년 2,158평에서 1,725평으로 20.0%가 줄어들었다. 쌀 재배가 줄어든 것은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2000년 93.6kg에서 2010년 72.8kg, 2020년 57.7kg으로 20년 사이에 약 40% 정..
-
옥수수 주산지 변화(2000~2020)곡물주산지 2022. 2. 12. 16:44
옥수수 주산지 변화(2000~2020) 옥수수는 2020년 현재 10만 7,134농가가 1만 2,820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30.1%, 4만 6,056호가 줄었지만, 면적은 35.6%, 3,364 ha가 늘어났다. 재배면적은 2010년 1만 2,542 ha와 비슷하지만 농가수는 15.8% 줄었다. 재배농가의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185평에서, 2010년 296평, 2020년 359평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지만 여전히 영세한 규모이다. 옥수수를 벼 대체작물로 심으면 보조금을 주면서 옥수수 재배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사료용 옥수수 신품종을 개발해 보급함으로써 축산 농가들이 옥수수 재배를 늘린 것도 한 이유로 분석된다. 특히 뻥튀기, 팝콘, 찐옥수수 등이 복고 취향을 자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