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림어업총조사
-
옥수수 주산지 변화(2000~2020)곡물주산지 2022. 2. 12. 16:44
옥수수 주산지 변화(2000~2020) 옥수수는 2020년 현재 10만 7,134농가가 1만 2,820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30.1%, 4만 6,056호가 줄었지만, 면적은 35.6%, 3,364 ha가 늘어났다. 재배면적은 2010년 1만 2,542 ha와 비슷하지만 농가수는 15.8% 줄었다. 재배농가의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185평에서, 2010년 296평, 2020년 359평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지만 여전히 영세한 규모이다. 옥수수를 벼 대체작물로 심으면 보조금을 주면서 옥수수 재배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사료용 옥수수 신품종을 개발해 보급함으로써 축산 농가들이 옥수수 재배를 늘린 것도 한 이유로 분석된다. 특히 뻥튀기, 팝콘, 찐옥수수 등이 복고 취향을 자극..
-
매실 주산지 변화(2000~2020)과일주산지 2022. 2. 12. 16:37
매실 주산지 변화(2000~2020) 지난 20년간 재배면적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과일인 매실은 2020년 현재 2만 7,726 농가가 5,252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351.7%, 2만 1,588호가, 면적은 371.5%, 4,183 ha가 늘어난 것이다. 매실 재배면적은 2005년 4배 정도 늘어난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5년에는 3만 6,541호가 8,363 ha를 재배해 최대를 기록했다. 2015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24.1%, 면적은 37.2%가 각각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000년 544평에서 2010년 729평으로 늘었다가 다시 568평으로 줄어들었다. 매실 재배가 4배 가까이 늘어난 것은 웰빙 소비가 늘고 매실주, 매실쥬스 등 다양한 매실 가..
-
살구 주산지 변화(2005~2020)과일주산지 2022. 2. 12. 16:27
살구 주산지 변화(2005~2020) 살구는 2020년 현재 3,123 농가가 401 ha를 재배하는데 2005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64.8%, 1,228호, 재배면적은 96.6%, 197 ha가 늘어난 것이다. 2010년과 비교해서도 농가수는 29.9%, 면적은 6.4% 늘어났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005년 323평에서 2010년 470평으로 조금 늘었다가 다시 385평으로 줄어들었다. 살구 재배농가와 면적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은 소비가 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살구는 경북과 대구광역시에서 주로 재배되는데 2005년 63.2%에서 2020년 65.3%로 비중이 조금 더 늘어났다. 경남도 살구 재배가 늘어났는데 187.5%, 16 ha가 증가해 비중이 7.8%에서 11.5%로 높아졌다. 시군..
-
밤 주산지 변화(2010~2020)과일주산지 2022. 2. 12. 16:26
밤 주산지 변화(2010~2020) 밤은 2020년 현재 1만 2,525 농가가 1만 5,929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32.4%, 6,005호가, 재배면적은 40.2%, 1만 717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2015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10.6%, 면적은 11.5% 밖에 줄지 않아 감소세가 조금 둔화되는 것 같다. 가구당 평균 재배면적은 2010년 4,314평에서 3,815평으로 조금 줄었다. 산에 주로 심는 밤의 재배가 줄어든 것은 농가가 노령화 되면서 수확할 노동력이 부족하기 때문으로 보이고 평균 재배면적이 줄어든 것도 같은 이유라고 보인다. 또한 까먹기가 어려워 소비가 늘어나지 않는 것도 주요한 원인인데 소비를 늘리려면 쉽게 까먹을 수 있는 품종을 재배해야 할 ..
-
오리 주산지 변화(2000~2020)축산주산지 2022. 2. 12. 16:23
오리 주산지 변화(2000~2020) 오리는 2020년 현재 1,116농가가 758만 2,370수를 사육하고 있는데 200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96.4%가 줄었지만, 사육 마리수는 62.3% 증가해 오리 전업농만 살아남은 것 같다. 1,000만 마리를 넘었던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75.5%, 3,476호가 줄었고 사육수도 25.7%, 262만 7,062수가 줄어들었다. 오리의 가구당 평균 사육 마리수는 2000년 149수에서 2010년 2,223수, 2020년 6,794수로 45배 이상 늘어났는데 농가수가 많이 줄고 대규모 오리 농가들이 늘어나면서 평균을 크게 끌어올린 것 같다. 오리 고기가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소비자들이 많이 찾고, 오리를 이용한 친환경 농사가 확대되면서 오리 사육이 늘..
-
염소 주산지 변화(2000~2020)축산주산지 2022. 2. 12. 16:19
염소 주산지 변화(2000~2020) 염소는 2020년 현재 7,273농가가 30만 1,691두을 사육하고 있는데 200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90.7%, 7만 984호가 줄었고 사육 두수도 43.0%, 22만 7,232두가 줄어든 것이다.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50.6% 7,453호가 줄었지만 사육 두수는 17.0%, 4만 3,812두가 늘어나 사육 규모가 다시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당 평균 사육 두수는 2000년 7두에서 2010년 18두, 2020년 41두로 6배 가까이 늘어났는데 경쟁력을 갖춘 농가들이 규모를 키우면서 염소 전업농으로 발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염소는 건강을 염려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다시 사육 두수가 늘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염소는 전남이 24.3%로 ..
-
꿀벌 주산지 변화(2000~2020)축산주산지 2022. 2. 12. 16:11
꿀벌 주산지 변화(2000~2020) 꿀벌은 2020년 현재 7,516농가가 90만 8,205통을 사육하고 있는데 200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74.9%, 2만 2,418호가 줄었지만 사육 통수는 42.3%, 26만 8,451통이 늘어난 것이다.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27.9% 2,906호가 줄었지만 사육 통수는 13.1%, 10만 5,765통이 늘어나 사육 규모가 꾸준히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구당 평균 사육 통수는 2000년 21통에서 2010년 77통, 2020년 121통으로 6배 이상 늘어났는데 경쟁력을 갖춘 농가들이 규모를 키우면서 꿀벌 전업농으로 발전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꿀벌은 꿀의 소비가 꾸준히 늘고, 꿀 가공제품들이 많아지면서 사육 통수도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꿀벌..
-
쌀(논벼) 주산지 변화(2000~2020)곡물주산지 2021. 10. 26. 16:20
쌀(논벼) 주산지 변화(2000~2020) 쌀은 2020년 현재 53만 6,299농가가 59만 5,405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하면 농가호수는 50.2%, 54만 1,343호가, 면적은 40.2%, 39만 9,798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전체 경지면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0년 62.1%에서 2010년 57.3%, 2020년 53.4%로 조금씩 줄어들고 있다. 전체 농가 중 쌀을 재배하는 농가는 2000년 77.9%에서 2010년 66.0%, 2020년 51.8%로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농가호당 쌀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2,771평에서 2010년 3,203평, 2020년 3,331평(1.11ha)으로 조금씩 늘어나 규모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재배동향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