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떫은감 주산지 변화(2000~2020)
    과일주산지 2022. 2. 17. 12:26
    728x90

    떫은감 주산지 변화(2000~2020)

     

    곶감과 홍시를 만들기 위해 심는 떫은감은 2020년 현재 32,812농가가 9,327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87.8%, 15,336, 면적은 119.5%, 5,077 ha가 늘어났다. 최대로 많이 심었던 2010년과 비교하면 농가수는 23.0%, 면적은 31.5%가 각각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730평에서 2010958평으로 늘었다가 다시 853평으로 조금 줄어들었다.

     

    재배면적과 농가가 크게 늘어난 것은 소비자들의 소득이 증가해 곶감의 소비가 늘고 홍시 등 감을 이용한 가공식품들이 많이 개발되었으며, 겨울철에 특별히 지을 농사가 없는 농민들이 가공이 비교적 손쉬운 곶감 생산을 늘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경상북도가 200049.3%를 차지했었는데 35.2%로 많이 줄어들었고 경남·, 전남·북의 비중이 92.1%에서 84.3%로 조금 줄었다.

    특히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올라가면서 2000년에는 떫은감을 거의 심지 않던 서울(16 ha), 인천(28 ha), 경기도(54 ha), 강원도(148 ha), 대전(73 ha) 등에서도 재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경북 청도 등 200 ha를 넘게 재배하는 10개 시군이 58.9%를 재배할 정도로 주산지가 집중되어 있지만 2000200 ha 이상 4개 시군이 55.8%를 차지하던 것에 비해서는 주산지가 많이 늘어났다.

    경북 청도는 1,406 ha(15.1%)를 재배해 2000년부터 계속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전국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8.5% 밖에 늘지 않았다.

    상주는 2005년부터 1,000 ha를 넘게 재배해 3위와 상당한 차이가 나는 2위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데 곶감을 지역 대표상품으로 만들기 위해 배 재배를 줄이고 떫은감을 심은 것 같다.

     

    김해(4000%), 함양(1285.7%), 창원(625.0%), 산청(515.6%), 진주(392.7%), 하동(350.0%), 예천(541.7%), 영동(314.1%), 구례(831.8%), 순천(544.8%), 광양(339.0%), 완주(357.7%), 강릉(1260%), 대구 달서구(4800%), 대구 북구(1950%), 대구 수성구(588.9%)등은 재배면적이 3배 이상 늘어났다.

    반면에 장흥(51.2%), 문경(44.9%), 밀양(23.0%) 등은 면적이 줄어들었다.

     

    재배규모별로는 전체적으로 2010년에 규모를 조금 늘렸다가 다시 줄였는데 300평 미만은 200038.3%에서 202037.1%로 비슷하고, 300~900평은 37.0%에서 35.6%, 900~1,500평은 15.4%에서 14.7%로 조금 줄었지만 나머지는 모두 늘었다.

    1,500~2,100평은 4.6%에서 5.3%, 2,100~3,000평은 2.8%에서 3.7%, 3,000~4,500평은 0.9%에서 1.6%, 4,500~6,000평은 0.5%에서 1.1%, 6,000~9,000평은 0.2%에서 0.4%, 9,000평 이상은 0.2%에서 0.5%로 늘어났는데 대규모 농가의 비중이 더 많이 늘어난 것을 볼 수 있다.

    9,000(3 ha) 이상 농가는 200043호에서 2010275호로 많이 늘었다가 2020167호로 조금 줄었지만 2000년에 비해 4배 가까이 늘어났다.

     

    떫은감 주산지 2020

    순위 지 역 재 배
    면 적
    비율 2010 2000 증 가
    면 적
    증가율
    순위 면 적
      전국 9,327   13,620   4,250 5,077 119.5%
    1    청도군 1,406 15.1% 1,818 1 1,296 110 8.5%
    2    상주시 1,203 12.9% 1,747 2 483 720 149.1%
    3    하동군 558 6.0% 564 6 124 434 350.0%
    4    영암군 499 5.4% 691 3 335 164 49.0%
    5    산청군 474 5.1% 785 8 77 397 515.6%
    6    광양시 439 4.7% 471 7 100 339 339.0%
    7    영동군 265 2.8% 503 10 64 201 314.1%
    8    완주군 238 2.6% 324 12 52 186 357.7%
    9    구례군 205 2.2% 189 31 22 183 831.8%
    10    진주시 202 2.2% 324 22 41 161 392.7%
    11    밀양시 197 2.1% 226 4 256 -59 -23.0%
    12    순천시 187 2.0% 254 27 29 158 544.8%
    13    장성군 159 1.7% 342 12 52 107 205.8%
    14    구미시 153 1.6% 199 20 42 111 264.3%
    15    김천시 139 1.5% 335 23 37 102 275.7%
    16    함안군 120 1.3% 175 17 45 75 166.7%
    17    전주시 114 1.2% 195 17 45 69 153.3%
    18    곡성군 111 1.2% 140 25 33 78 236.4%
    19    함양군 97 1.0% 197 51 7 90 1285.7%
    20    정읍시 92 1.0% 87 11 57 35 61.4%
    21    나주시 91 1.0% 187 9 66 25 37.9%
    22    논산시 81 0.9% 182 14 51 30 58.8%
    23    예천군 77 0.8% 133 38 12 65 541.7%
    24    문경시 76 0.8% 287 5 138 -62 -44.9%
    24    의령군 76 0.8% 72 15 50 26 52.0%
    26    강릉시 68 0.7% 68 62 5 63 1260.0%
    27    광산구 63 0.7% 90 35 16 47 293.8%
    28    수성구 62 0.7% 52 41 9 53 588.9%
    29    창원시 58 0.6% 81 45 8 50 625.0%
    30    옥천군 52 0.6% 151 26 30 22 73.3%
    31    부안군 51 0.5% 74 15 50 1 2.0%
    32    달서구 49 0.5% 27 113 1 48 4800.0%
    32    경산시 49 0.5% 75 24 35 14 40.0%
    34    고창군 44 0.5% 82 32 20 24 120.0%
    35    영광군 42 0.5% 69 20 42 0 0.0%
    36  대구북구 41 0.4% 29 92 2 39 1950.0%
    36    김해시 41 0.4% 44 141 1 40 4000.0%

     

    (자료:농림어업총조사)

     

    728x90

    '과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단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감귤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대추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자두 주산지 변화(2000~2020)  (0) 2022.02.17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