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숭아 주산지 변화(2005~2015)과일주산지 2020. 10. 5. 14:58728x90
복숭아 주산지 변화(2005~2015)
복숭아는 2015년 현재 2만 9,535농가가 1만 5,576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5년에 비해 재배농가는 3,937호 줄어들었지만 재배면적은 880 ha(6.0%)가 늘어난 것이다. 2010년에는 재배농가와 면적이 조금 줄어들었다가 다시 늘어나고 있다.
평균재배면적은 1,582평으로 2005년 1,317평에 비해 265평 늘어났다.
재배면적 중 수확 가능한 면적은 2015년 1만 4,828 ha로 전체 재배면적의 95.2%에 달하는데 이것은 2010년 1만 2,006 ha, 89.7%에 비해 많이 늘어난 것이다.
재배규모별로 보면 1 ha 미만 농가가 2005년 3만 971호에서 2015년 2만 6,276호로 4,695호가 줄어들었는데 전체 농가의 92.5%에서 89.0%로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복숭아 재배농가의 대부분이 아직도 3,000평 미만의 적은 면적을 재배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규모인 1.0~1.5 ha 농가는 277호, 20.1%, 1.5~2.0 ha 는 234호, 32.4%가 각각 늘어났다. 대규모인 2.0~3.0 ha는 178호, 66.7%, 3 ha 이상은 69호, 53.1%가 늘어 대규모 복숭아 과수원이 많이 늘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지난 10년 사이의 지구온난화 영향으로 복숭아 주산지도 조금씩 바뀌고 있는데 경북 상주가 2005년에 비해 326 ha가 늘었는데 사과 재배를 줄이고(373 ha) 복숭아 재배를 늘린 것 같다.
경북 의성도 사과가 174 ha가 줄어들고 복숭아가 326 ha 늘어났고, 영주도 사과가 159 ha가 줄어들고 복숭아가 39 ha 늘어났으며, 영천도 사과가 109 ha가 줄어들고 복숭아가 71 ha 늘어났다.
경북 영천은 1,614 ha로 2005년부터 계속 전국 최대 주산지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데 면적은 조금 늘었다.
충주시는 1,543 ha로 전국 2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면적이 43.1%, 465 ha가 늘어나 4위에서 순위가 높아졌다.
경산시는 면적이 26 ha가 줄어들어 2위에서 3위로 내려 앉았다. 청도군(199 ha), 이천시(130 ha), 세종시(95 ha), 원주시(125 ha), 영덕군(100 ha) 등이 면적이 많이 줄어든 지역이다.
영동군(362 ha), 김천시(254 ha) 등은 면적이 크게 늘어났다.
복숭아 주산지 2015
순위
지 역
재배면적
비율
2010년
2005년
증가면적
증가율
순위
면 적
전 국
15,576
13,381
14,696
880
6.0%
1
영천시
1,614
10.4%
1,360
1
1,543
71
4.6%
2
충주시
1,543
9.9%
1,109
4
1,078
465
43.1%
3
경산시
1,462
9.4%
1,398
2
1,488
-26
-1.7%
4
음성군
1,171
7.5%
1,086
5
911
260
28.5%
5
청도군
1,008
6.5%
776
3
1,207
-199
-16.5%
6
영동군
927
6.0%
643
7
565
362
64.1%
7
이천시
621
4.0%
779
6
751
-130
-17.3%
8
김천시
555
3.6%
319
12
301
254
84.4%
9
상주시
537
3.4%
245
16
211
326
154.5%
10
의성군
478
3.1%
263
20
147
331
225.2%
11
옥천군
372
2.4%
320
10
377
-5
-1.3%
12
세종시
357
2.3%
322
8
452
-95
-21.0%
13
전주시
258
1.7%
244
13
284
-26
-9.2%
14
원주시
255
1.6%
306
9
380
-125
-32.9%
15
영덕군
242
1.6%
222
11
342
-100
-29.2%
16
남원시
229
1.5%
255
18
191
38
19.9%
17
괴산군
211
1.4%
140
24
118
93
78.8%
18
춘천시
194
1.2%
248
14
256
-62
-24.2%
19
임실군
176
1.1%
97
19
181
-5
-2.8%
20
대구 동구
152
1.0%
167
15
240
-88
-36.7%
21
영주시
141
0.9%
90
25
102
39
38.2%
22
화순군
140
0.9%
109
26
101
39
38.6%
22
청주시
125
0.8%
182
17
187
-62
-33.2%
24
경주시
118
0.8%
78
27
98
20
20.4%
25
안동시
113
0.7%
79
34
81
32
39.5%
26
예천군
103
0.7%
46
53
45
58
128.9%
27
순천시
99
0.6%
109
22
135
-36
-26.7%
28
제천시
96
0.6%
103
21
142
-46
-32.4%
29
여주시
92
0.6%
132
22
127
-35
-27.6%
29
진주시
92
0.6%
71
36
73
19
26.0%
31
대구수성구
86
0.6%
73
30
86
0
0.0%
32
군위군
83
0.5%
62
35
80
3
3.8%
33
구미시
81
0.5%
59
40
62
19
30.6%
34
완주군
70
0.4%
54
28
96
-26
-27.1%
35
무주군
63
0.4%
50
53
38
25
65.8%
36
창녕군
59
0.4%
46
36
73
-14
-19.2%
37
보은군
57
0.4%
46
39
72
-15
-20.8%
38
논산시
54
0.3%
49
32
82
-28
-34.1%
39
공주시
52
0.3%
76
31
85
-33
-38.8%
40
청송군
51
0.3%
49
48
49
2
4.1%
(자료 : 2015 농업총조사)
728x90'과일주산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밤 주산지 변화(2010~2020) (0) 2022.02.12 자두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20.10.06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20.06.04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 (0) 2018.10.12 밤 주산지 변화(2010~2015) (0) 2018.1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