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도주산지
-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과일주산지 2022. 2. 17. 12:34
포도 주산지 변화(2000~2020) 포도는 2020년 현재 2만 3,301농가가 9,851 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53.0%, 2만 6,318호가, 재배면적은 53.7%, 1만 1,409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는 34.8%, 1만 2,464호가, 재배면적은 40.6%, 6,733 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1,285평에서 2020년 1,268평으로 비슷한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포도는 2004년 체결된 한칠레 FTA 영향으로 년중 칠레로부터 많은 포도가 수입되어 가장 큰 피해를 본 품목이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00년 2만 1,260ha에서 8,027ha로 62.2%, 1만 3,33 ha가 줄었고, 시설재배..
-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과일주산지 2020. 6. 4. 15:09
포도는 2015년 현재 2만 9,313농가가 1만 3,705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5년에 비해 농가수는 22.3%, 8,411호가, 재배면적은 14.0%, 2,223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재배면적이 늘어났던 2010년에 비해서는 1,910호, 2,879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5년 1,267평에서 2015년 1,403평으로 136평 늘어났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10년 1만 4,457ha에서 1만 1,714ha로 2,743ha가 줄었고 시설재배는 2,127ha에서 1,991ha로 136ha가 줄어 노지재배가 더 많이 줄어 든 것을 알 수 있다. 농가수는 노지재배가 19.8%, 6,188호, 시설재배가 5.8%, 264호가 줄어들었다. 평균재배면적은 늘어..
-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과일주산지 2018. 10. 12. 16:48
포도 주산지 변화(2005~2015) 포도는 2015년 현재 2만 9,313농가가 1만 3,705ha를 재배하고 있는데 2005년에 비해 농가수는 22.3%, 8,411호가, 재배면적은 14.0%, 2,223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재배면적이 늘어났던 2010년에 비해서는 1,910호, 2,879ha가 줄어들었다. 가구당 평균재배면적은 2005년 1,267평에서 2015년 1,403평으로 136평 늘어났다. 재배형태별로 보면 노지재배는 2010년 1만 4,457ha에서 1만 1,714ha로 2,743ha가 줄었고 시설재배는 2,127ha에서 1,991ha로 136ha가 줄어 노지재배가 더 많이 줄어 든 것을 알 수 있다. 농가수는 노지재배가 19.8%, 6,188호, 시설재배가 5.8%,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