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조 3년(1457) 세자가 성균관에 가서 스승을 처음 대하는 속수례를 행했다 ○중종 14년(1519) 늦게 부임하는 수령들이 많아 임기 시작 전에 부임하라고 지시 ○중종 36년(1541) 지진 발생 ○인조 14년(1636) 왕이 청나라 병사들에게 쫓겨 남한산성에 갇혀서도 명나라 황제에게 예를 올리는 망궐..
○ 세종 원년(1418) 태종이 외척세력을 없애서 세종이 편하게 정치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왕비의 아버지 심온을 죽였다 다만 왕비의 아버지라 스스로 목숨을 끊게 했다 ○ 세종 7년(1425) 아이들의 교육을 위해 중국에 가서 소학을 쉽게 풀이한 “집성소학” 100권을 사오게 했다 이처럼 ..
○정종 2년(1400) 한양으로의 천도를 논의하다 이 날 수창궁에 불이 났는데 입직사관들이 수창궁 사고에 있던 역사책을 안전하게 지켜 냈다 ○ 세종 1년(1419) 절도죄를 3번 지으면 사형에 처할 정도로 죄를 짓는 사람들이 많지 않았다 ○세조 7년(1461) 날씨가 따뜻해 저장한 얼음이 녹아 여러 ..
○ 세종 원년(1418) 예조에서 500 호 이상이 사는 마을에는 모두 학교를 만들고 선생님을 두어 아이들을 가르치자고 건의하자 풍년이 들면 시행키로하다 교육에 필요한 비용들은 모두 국가가 부담하는 것이라 풍년을 기다리라고 했다 ○ 세종 4년(1422) 호랑이가 얼마나 많았으면 5마리 이상..
태조2년(1402)에 무과시험의 기준이 마련되어 이에 따라 무과 과거가 시행되었다 ○ 시험감독 삼군부(三軍府)의 정관(正官) 2명을 선발하여 위임하되, 감교시사(監校試使)와 부사(副使)로 충원 동고시관(同考試官) 4명과 문하부(門下府)·사헌부(司憲府)의 각 1명은 고시 기간에 임박하여 임..
태조는 1402년 음력 1월 26일 신문고를 설치하면서 모든 사람들의 억울한 얘기를 듣겠다는 것과 고발한 내용이 사실이면 상을 주겠다는 내용의 담화문을 직접 발표 했다 <태조의 교서 전문> 내 부덕(否德)한 사람으로 대통을 이어받았으니, 밤낮으로 두려워하면서 태평(太平)에 이르기..
○ 세조 1년(1455) 노비소송에 매일 출석해서 뚜렷한 증거도 없이 자기 노예라고 주장하면 이기던 법을 폐지했다 ○ 세조 13년(1467) 불 끄는 사람과 장비를 준비하게 했는데 일반가정에도 도끼와 긴사다리를 준비하게 했다 ○ 중종 2년(1507) 무신도 능력이 있으면 문신들이 하는 벼슬을 주도..
○ 정종 2년(1400) 목성이 저성 궤도 안으로 들어가고 화성이 도수를 잃은 것을 밀봉해서 왕에게 보고했는데 저성이 천자를 상징하는 별이어서 그렇게 했다 ○ 정종 2년(1400) 중전의 투기 때문에 왕이 경연청에서 10여일간 기거했다 ○ 세종 7년(1425) 강원도 상원사에 화재가 발생 ○ 세조 1년(..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