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류
-
두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3. 14. 10:54
두류 재배 동향 변화(2000~2020) 콩, 팥 등 두류는 2020년 현재 29만 6,724 농가가 4만 4,766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64.5%, 53만 8,883호, 재배면적은 34.3%, 2만 3,384 ha가 줄어들었다. 노지에서 키우는 두류는 콩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평균 재배면적은 콩이 495평, 팥이 208평으로 모두 영세한 규모이지만 재배농가가 많이 줄어들면서 2000년에 비해 2배 가까이 넓어졌다. 콩은 26개 시군의 비중이 50%를 차지할 정도도 주산지가 골고루 분포되어 있지만 기후변화와 2018년부터 실시한 정부의 논 대체작물 지원 정책 때문에 주산지가 많이 바뀌고 있다. 정부는 2018년부터 논에 콩을 심을 경우 많은 지원을 해주는데 이 때문에 산등..
-
팥 주산지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2. 17. 11:12
팥 주산지 변화(2000~2020) 팥은 2020년 현재 4만 3,820농가가 3,040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78.7%, 16만 1,695호가, 면적은 60.9%, 4,739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하지만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수는 47.2% 줄었지만 면적은 16.6% 밖에 줄지 않아 이미 2010년에 어느 정도 구조조정이 끝난 것 같다. 재배농가의 평균면적은 2000년 114평에서 2010년 132평, 2020년 208평으로 배 가까이 늘었지만 여전히 텃밭 수준으로 작은 면적이다. 팥 재배가 줄어든 것은 값싼 외국산이 많이 수입되기 때문이지만 최근 디저트용 등 팥의 수요가 늘면서 2015년 조금 늘었다가 다시 줄고 있다. 2000년에는 강원도, 충북, 경북의 산간지역에서..
-
콩 주산지 변화(2000~2020)두류,서류주산지 2022. 2. 17. 11:09
콩 주산지 변화(2000~2020) 콩은 2020년 현재 25만 2,904농가가 4만 1,726 ha를 재배하는데 2000년에 비해 농가수는 59.9%, 37만 7,188호가, 재배면적은 30.9%, 1만 8,645 ha가 각각 줄어든 것이다. 2010년에 비해서는 농가수는 43.1% 줄고, 면적도 29.3%나 줄어 최근 많은 변화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평균재배면적은 2000년 287평에서 495평으로 많이 늘었지만 여전히 소규모로 농사를 짓는 것을 알 수 있다. 식용 콩 재배농가와 면적이 크게 줄어든 것은 수입산에 비해 3~4배 비싼 가격 때문에 시장경쟁력이 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 식용유를 짜거나 사료용으로 쓰는 콩은 가격경쟁력이 없어서 이미 거의 전량을 수입산을 쓰고 있다. 콩은 26개 시군..